고령화 심화되는 일본, 가계 경제구조 변화 불러와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일본에서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가계의 경제구조까지 큰 변화를 겪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한국은행이 24일 발간한 '해외경제 포커스'에 따르면 최근 일본의 고령화 심화는 경제 내 고령층 영향력 확대와 함께 경제주체의 행태 및 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미침으로써 전체 가계의 경제구조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일본은 2006년 이미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데 이어 고령층 비중이 27.7%(2017년)까지 상승했으며 이들이 전체 소비의 40%, 금융자산 보유의 60%를 차지하고 있다.일본은 고령화 진전과 함께 가계의 소득구조, 소비지출구조, 자산보유구조 등에서 큰 변화를 경험 중이다.소득구조 변화 측면에서는 가처분소득 증가가 미흡한 가운데 연금·보험소득 비중이 크게 상승했다. 가처분소득은 사회부담금 등 비소비지출 증가로 회복이 미약한 반면 고령화에 따른 연급수급자 증가(94년 2162만명→17년 3969만명)로 연금보험료가 계속 인상되는 추세다.가계소득중 근로소득이 가장 큰 비중(2016년 63.3%)을 차지하는 가운데 지난 20년간 연금·보험소득의 비중 상승이 뚜렷(94년 12.6%→16년 19.1%)해지는 추세다.소비지출구조 변화 측면에서 가계 소비성향은 소비성향이 높은 고령층 비중이 큰 폭 확대됨에 따라 1994년 76.5%에서 2016년 80.9%까지 상승했다.지난해 근로자가구 기준으로 연령별 소비성향은 고령층이 83.5%, 장년층 73.3%, 청년층 63.8%였다.고령층 소비성향은 자산축적, 액티브 시니어 증가 등으로 상승(00년 77.7%→17년 83.5%)한 반면, 청년층은 하락(68.9%→63.8%)하고 장년층은 횡보(73.0%→73.3%)했다.자산보유구조 변화 측면에서 가계 금융자산은 증가세를 보였으나 실물자산은 감소했다. 가계의 금융자산(1994년 1231조엔→2016년 1824조엔)은 금융위기 전후를 제외하고 꾸준한 증가세를 보인 가운데 총자산에 대한 비중도 상승(44.8%→63.2%)했다.은퇴 후 소비수준 유지, 예상치 못한 지출(질병 등) 보전, 자산가격 급락 우려 등으로 안전성 및 유동성 선호가 강화되면서 금융자산 보유를 확대시켰다는 분석이다.
일본 가계의 경제구조 변화는 거시경제 및 금융시장에 상당한 파급효과를 미쳤다는 분석이다. 특히 고령층의 소비 영향력 증대는 인구 감소 등에 따른 소비부진을 일부 상쇄했다.다만 향후 후기 고령자 비중 증가로 노동시장 참여 및 소비가 위축되고 연금 등 고령화 관련 사회보장비용이 늘어나는 등 거시경제에 제약요인으로 작용할 위험이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또한 고령층의 안전성 및 유동성 선호 경향으로 금융자산 수익률 저하가 지속될 경우 금융기관의 수익성 및 건전성 악화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이에 따라 일본에서는 가계의 경제구조 변화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다양한 대응책이 논의되고 있다.우선 일본 가계의 소비활동이 위축되지 않도록 고령층의 노동시장 참여를 제고하고 사회안전망 강화 등을 통해 소비여력을 확충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한편 금융자산의 수익률 저하에 대응하여 금융기관의 신규 수익원 창출(해외투자 등)을 장려하고 리스크관리 강화 노력도 병행 중이다.저출산 완화를 위해 여성 근로환경 개선, 출산·육아 지원 등도 강화하고 있다.한편 우리나라 고령층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낮고 안정성·유동성이 높은 금융자산 축적이 미흡함에 따라 향후 소비여력이 위축될 가능성에 유의해야 한다고 보고서는 강조했다.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