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 '삼청첩'·김정희 '난맹첩' 등 보물 예고

이정 필 삼청첩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조선의 묵죽화(墨竹畵·수묵을 사용한 대나무 그림) 대가인 이정(1554년∼1626년)의 '삼청첩'이 보물이 된다. 문화재청은 이 작품을 포함해 조선시대 회화와 불경, 서적 등 아홉 건을 23일 국가지정문화재 보물로 지정 예고했다.간송미술문화재단이 소장하고 있는 이정 필 삼청첩은 감색 비단에 금니(金泥·금물)로 그린 그림이다. 세종의 고손인 이정이 1594년 12월12일 충남 공주에서 임진왜란 발발 직후 다친 팔로 매화, 난초, 대나무를 묘사했다. 식물의 형상을 정교하고 우아한 필치로 담아내 조선시대 사군자화 연구의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유덕장, 신위와 함께 조선 묵죽화의 대가로 꼽히는 이정은 글씨에도 조예가 깊었다고 전해진다. 그의 작품이 보물로 지정 예고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

이징(1581년∼?), 심사정(1707년∼1769년), 김득신(1754년∼1822년)의 서첩과 그림도 처음으로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간송미술문화재단에 있는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과 '심사정 필 촉잔도권', '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 등이다. 이징 필 산수화조도첩은 이징이 그림을 관할한 관청인 도화서에서 교수로 활동하며 제작한 화첩이다. 화조화, 산수화, 영모화(翎毛畵·깃이나 털이 있는 동물을 그린 그림)와 함께 이식, 이명한의 시문 37수를 수록했다. 시와 글씨, 그림을 모은 시서화 합벽첩 가운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유물로 전해진다. 심사정 필 촉잔도권은 이백이 촉(蜀)으로 가는 험난한 여정을 표현한 시 '촉도난(蜀道難)'을 소재로 그린 회화다. 너비 8m가 넘는 커다란 화면에 변화무쌍한 자연미가 구현됐다. 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은 김득신이 그린 풍속화 여덟 점으로 구성됐다. 김홍도의 화풍을 계승하면서도 인물 표정과 심리 묘사에 능했던 김득신의 개성을 엿볼 수 있다.

김정희 필 난맹첩

김정희의 '서원교필결후'와 '난맹첩'도 보물이 된다. 서연교필결후는 김정희가 서예가 이광사가 서법에 관해 정리한 책 '서결(書訣) 전편'의 서문에 해당하는 부분을 비판한 글이다. 난맹첩은 김정희가 자신의 전담 장황사(裝潢師·표구 전문가)였던 유명훈에게 선물로 주려고 마련한 서화첩으로, 묵란화(墨蘭畵·수묵을 사용한 난초 그림) 열여섯 점과 글씨 일곱 점으로 이뤄졌다.

감지은니범망경보살계품

'감지은니 범망경보살계품'과 '송조표전총류', '대곡사명 감로왕도' 등도 함께 보물로 지정 예고됐다. 승려 대연이 만든 감지은니 범망경보살계품은 불교 수행자가 갖춰야 할 자세와 덕목을 수록한 경전이다. 조선시대 사경(寫經·손으로 베껴 쓴 경전)으로는 드물게 앞쪽에 부처의 설법 장면을 묘사한 그림이 있다. 송조표전총류는 조선 태종 3년(1403년)에 편찬된 책이다. 송나라의 표전(表箋·임금에게 진정하거나 나라에 길흉사가 있을 때 신하가 작성하는 글) 가운데 참고가 될 만한 글들의 모음집이다. 대곡사명 감로왕도는 승려화가 치상 등 열세 명이 1764년에 완성한 그림으로, 경북 의성 대곡사에 봉안돼 있던 것으로 알려졌다. 문화재청은 한 달간 각계 의견을 수렴한 뒤 이 문화재들의 보물 지정 여부를 결정한다.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문화부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