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코치수급 한계, 그마저도 야구·축구 쏠림

통합스포츠 우려와 기대<하>

사진=FC서울 제공

[아시아경제 김흥순 기자] 정부가 추진하는 '통합체육'은 엘리트와 생활체육을 한 데 아우르는데 목적이 있다. 이 계획대로라면 동호인이나 사회인 중심 클럽 스포츠에서도 엘리트 선수 육성이 가능하다. 그러나 현실은 학원 스포츠를 통해 전문 선수를 육성하는 기존 시스템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프로축구 관계자 C씨는 "클럽 팀의 한계는 지도자와 인프라다. 정기적으로 훈련할 수 있는 시설을 사설로 운영하기 어렵고, 관리비나 지도자 보수도 회비로 충당해야 한다. 학부모의 부담이 커지는 구조라 내실 있는 운영이 힘들다"고 했다. 리틀야구나 유소년 야구클럽으로 운영되는 야구 꿈나무 육성 시스템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다.서울에서 중학교 체육교사로 일하는 D씨는 "시·도 교육청 권고로 각급 학교에서 운동부를 운영하고 있지만 예산 지원이 제한적이다. 종목당 연간 100만원 안팎인데 훈련이나 대회 출전을 위해서는 액수가 턱없이 부족하다. 학부모들이 찬조금 명목으로 내는 지원금이 없다면 지도자 급여를 주기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했다.배구나 농구 종목은 클럽 팀 제도가 아예 없거나 취미반만 운영하고 있다. 초등학교반부터 성인반까지 회원 300명 규모로 농구교실을 운영하는 조문주 감독(52)은 "전문 선수가 되기 위해서는 훨씬 강도 높은 훈련을 한다. 엘리트와 생활체육의 실력 차를 줄이려면 10년 이상 시간이 필요할 것"이라고 했다. 클럽 스포츠 팀이 늘면서 부작용도 적지 않다. 검증되지 않은 지도자들이 사익을 추구하기 위해 학부모를 현혹하는 일이 잦다. A씨는 "전문 선수 육성을 빌미로 합숙을 하면서 훈련비를 부풀리고, 인원을 늘리기 위해 합숙을 강요하는 클럽이 많다"고 했다. 합숙은 학원 스포츠에서도 비용 부담과 학습권 침해 등을 이유로 금지하는 사항이다. 전국농구연합회는 이러한 폐해를 줄이기 위해 내년부터 등록제를 시행한다.엘리트와 생활체육의 공존은 선택이 아닌 필수다. 대신 추구하는 방향을 분명하게 구분할 필요가 있다. C씨는 "검증을 통해 선별한 클럽은 학교 운동장이나 지방자치단체 훈련시설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고, 지도자에 대한 보수도 경기단체나 교육청에서 보전해야 체계적인 육성이 가능하다"고 했다. 김호 용인시축구센터 총감독(72)은 "실력이 뛰어난 전문 선수 육성과 국민이 건강한 나라를 만드는 일은 별개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그는 엘리트 육성 방안부터 단계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학교 축구를 예로 들어 유소년 수준부터 세 단계로 반을 나누고, 기량이 뛰어난 선수와 발전 가능성이 있는 선수, 관심이 있지만 전문 선수가 되기에는 실력이 모자란 선수를 구분해야 한다는 의미다.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스포츠레저부 김흥순 기자 spor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