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취업지원센터 직원 절반은 비정규직'

직업능력개발원, 고용 불안정해 업무 연속성·전문성 하락전담자 없는 대학도 20% 이상…학생들 취업 프로그램 외면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대학 졸업생들의 진로선택과 취업준비를 지원해야 할 대학의 취업지원센터가 전담인력 수와 전문성 모두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지원센터 직원 2명 중 1명은 비정규직, 또는 무기계약직이었다.7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정재호·서유정 부연구위원이 전국 4년제 대학 101곳과 전문대 80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대학 취업지원센터의 취업지원 전담직원은 4년제 대학이 평균 5.8명, 전문대가 평균 3.4명이었다.4년제 대학 중에는 취업지원 부서에 취업지원 전담직원이 아예 없는 곳도 21.8%나 됐다. 또 전담직원이 있더라도 경력 5년 미만의 인력이 전체의 75.8%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특히 경력 1~3년 미만의 인력이 36.2%로 가장 많은 반면 10년 이상의 취업지원 경력이 있는 경우는 6.9%에 그쳤다.전문대학 역시 경력 3년 미만인 직원이 절반 이상(50.0%)이지만 10년 이상인 직원은 8.8%에 불과했다.이들 취업지원센터 인력의 고용 형태를 보면 4년제 대학의 경우 정규직이 46.6%, 전문대학은 50.0%로 취업지원 전담직원 2명 중 1명은 비정규직이거나 무기계약직, 외부기관의 인소싱을 통해 고용된 상태였다.서유정 직업능력개발원 부연구위원은 "취업지원센터 전담직원의 고용 자체가 불안정해 업무의 연속성이 떨어지는 상황에 놓여 있다"며 "이 때문에 소속 대학의 취업 관련특성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적절한 지원을 하기 어려운 구조"라고 지적했다.4년제 대학의 취업직원 전담직원 5.8명 중 진로·취업상담을 하는 직원은 평균 2.5명(43.1%·겸직 포함),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직원은 평균 2.3명(39.7%)으로 조사됐다. 또 행정업무를 맡은 직원이 1.9명(32.8%)이었으나 기업관리·연계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은 1.1명(19.0%) 수준이었다.대학들이 운영하는 취업지원 프로그램의 상당수는 취업캠프와 특강, 대회 등과 같은 일회성 행사(32.3%)에 치우쳐 있었다. 이어 취업능력개발 교육 프로그램이나 자격증 강좌가 16.5%, 잡매칭이나 맞춤형 멘토링·상담이 14.2% 순이었다.실제 취업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기업 네트워크 구축 및 활용(3.9%), 기업-학생 매칭과 기업맞춤형 교육과정 운영(3.1%) 등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은 대학의 취업지원과 기업의 연계가 충분히 이뤄지지 않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했다.학교 취업지원센터 담당자들이 취업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겪는 어려움으로 지원학생 모집(61.4%, 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택한 것도 정작 학생들이 취업지원 프로그램을 신뢰하지 않고 있음을 반영했다.정재호 부연구위원은 "대학들이 취업지원 업무에 있어 전문성과 경력을 갖춘 인력을 확충하고 학생들의 참여와 취업지원 효과가 높은 양질의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예산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