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보존과학, X선·3D스캐닝 어떻게 활용됐을까

오는 5월 8일까지 국립중앙박물관'보존과학, 우리문화재를 지키다' 특별전

자료=국립중앙박물관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올해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보존과학이 시작된 지 40주년이 되는 해다. 국보 제 91호 기마인물형 토기, 국보 제 127호 금동관음보살입상 등은 박물관 보존과학 초창기에 복원된 유물들이다. 이외에도 금속, 도자, 서화, 목재 등을 재료로 하는 옛 유물들이 X선, 3D스캐닝 기법으로 제 모습을 찾아갔다.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은 8일부터 오는 5월 8일까지 '보존과학, 우리문화재를 지키다' 특별전을 연다. 보존과학 초창기부터 최근까지 보존처리 된 문화재중 대표 유물 57점을 선보인다. 이번 전시에는 우리문화재의 재료와 기술을 살펴볼 수 있는 전시 보조물 60여점을 활용해 문화재 복원과정과 기록들을 살펴볼 수 있게 했다. 프롤로그에서는 기마인물형 토기(하인상), 금동관음보살입상, 보물 제366호 감은사지 서삼층석탑 사리외함 등 초창기의 국보급 문화재 복원과정을 담았다. 박물관 관계자는 "1990년대 이전까지만 해도 한 사람이 2~3종류 이상의 재질을 담당했을 정도로 장비나 전문성 면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었지만, 열정만큼은 누구보다도 컸던 시기였다"고 회상했다.

.

1990년대 이후 현대과학기술이 도입, 응용되면서 문화재조사 연구에 X선, 적외선, 자외선 등 '빛'을 이용한 장비들을 활용돼 유물의 내부를 분석하게 됐다. 각 재질별 전문 인력의 확보로 우리문화재의 전통기술 연구에 많은 성과를 이룬 시기다. 전시장엔 각 재료를 가공해 제작한 문화재들의 실물과 기술을 만나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금속의 누금과 주조기술, 도자기류의 동화·철화·청화기법, 서화의 배채법, 목공예품의 나전기법 등으로 구성된다. 최근에 보존처리 된 유물의 사례들도 나와 있다. 2014년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의 최대성과 중 하나라 할 수 있는 신라금관총 '이사지왕 대도'등 성과물들의 처리 과정을 유물과 처리영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국보 제193호인 봉수형유리병의 경우, 1980년대 1차 보존처리 이후, 2014년 다시 보존처리한 사례다. 처음 보존처리 진행할 당시부터 재료의 열화나 변색으로 인한 재처리 상황을 염두에 두고 보존처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30년이 지난 후 가역적인 보존처리가 진행될 수 있었다. 용 구름무늬 주자는 최근 새롭게 3D스캐닝 기법을 활용한 예다. 전시실 내부에는 보존처리실을 재현해 뒀다. 일반인 출입이 제한된 장소인 보존처리실의 문화재 치료과정을 생생하게 접할 수 있다. 이외에도 복원 환경관리에 대한 주요 활동을 소개한다. 금속문화재의 부식, 직물류 피해 등 문화재에 해를 끼치는 요인들에 대해 어떻게 대처하는지 살필 수 있다. 이해를 돕기위해 주중 1일 2회(오전 10시, 오후 2시) 전시해설도 운영된다. 주말에는 초등학생 중에서 선발한 '미래의 보존과학자'가 어린이들 눈으로 이해한 보존과학 해설(1일 1회, 오후 2시)을 진행한다. 매주 수요일 야간개장일에는 ‘큐레이터와의 대화’시간(오후 7시)을 통해 심층적인 해설을 접할수 있다.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문화레저팀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