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년전 우즈벡 궁전벽화 속 고구려 사신이 깨어나다

조우관 인물 복원 전과 후 확대 그림.

아프로시압 궁전벽화 서벽 오른쪽 고려인으로 추정되는 조우관 인물들이 보인다.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고구려 사신으로 추정된 인물들이 그려진 '우즈베키스탄 아프로시압 궁전 벽화'를 국내에서도 실물크기로 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1300년 전 고대 한국인이 포함된 궁전의 서벽 그림을 우리 손으로 모사·복원한 것이다. 동북아역사재단은 모사·복원한 이같은 아프로시압 서벽 그림을 23일 국립중앙박물관 3층 중앙아시아실에서 일반에 공개했다. 아프로시압 궁전 벽화는 7세기 소그디아 왕국의 바르후만 왕의 재위시에 그려졌으며 정사각형 건물의 동, 서, 남, 북 4면에 그려져 각각 높이 2.6m, 가로 11m에 달한다. 사실감이 뛰어나 회화사적으로도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인정받는데 왕을 중심으로 여러 나라에서 온 사절도와 사냥, 혼례, 장례 등 당시 다양한 생활상을 엿볼 수 있어 역사·문화적으로 가치가 높다. 특히 서벽에 새 깃털을 꽂은 조우관(鳥羽冠)를 머리에 쓰고 고리 모양의 손잡이가 특징인 환두대도(環頭大刀)를 허리에 차고 있는 두 인물은 고구려인일 가능성이 제기돼 학계의 주목을 받아온 바 있다. 아프로시압 궁전 벽화는 1965년 발견된 이후, 보호 조치가 미흡해 심하게 훼손된 상태로, 서벽의 고구려인으로 추정되는 사절의 모습도 전체 윤곽과 조우관의 형태만 확인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했다. 따라서 재단은 2013년 우즈베키스탄 국립사마르칸트박물관과 협정을 맺고 벽화 복원과 보호를 위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해왔다. 재단은 훼손 전 원형을 알기 위해 디지털 실체 현미경, 적외선 분석기, 자외선 분석기 등 첨단 장비를 동원해 원 벽화의 안료와 그림의 모습을 추적해 나갔다. 또한 국내 사진 전문가를 동원해 직접 벽화를 정밀하게 디지털로 촬영해 고해상도 이미지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모사도 2벌을 제작해 각각 재단과 아프로시압 박물관에 소장토록 했다. 이 중 고구려인으로 추정되는 사신도가 있는 서벽은 사마르칸트 고고학연구소와 공동으로 당시 기법을 복원, 실제 벽체와 동일한 크기로 제작해 이번에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전시하게 된 것이다.사마르칸트 고고학연구소의 레투바 마리나 연구원은 "벽체는 황토와 기타 첨가물을 혼합하여 보존성이 강한 벽체를 만들었으며 그것들은 원벽이 제작됐던 방법에 대해 충분한 연구를 거쳐서 진행했다"며 "모사본 역시 원 벽에 버금가는 문물로서의 가치를 지니며, 한국 및 기타 국가에서 전시회를 통해 소개 되어도 결코 손색없는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재단은 앞으로 아프로시압 유적 및 궁전벽화의 디지털 복원 영상물을 한국어, 우즈베키스탄어, 러이사어, 영어, 프랑스어 등 5개 국어로 제작해 아프로시압 박물관을 찾는 전 세계 관광객에게 7세기 고구려의 위상을 국제적으로 알려나갈 예정이다. 재단 관계자는 "그림 속 고구려 사신은 700여 년간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축으로서 국제성을 확보하고 있던 고구려의 위상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앞서 재단은 강서대묘, 덕흥리벽화고분, 안악3호분, 수산리고분 등 고구려 벽화를 디지털로 복원한 바 있다.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