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트 옥죄다 골목이 숨넘어갈 판

대형마트 3년간 의무 휴업에 쪼그라 들어주변 지역 상인 과도한 보상요구도 부담소비자는 '열린 마트' 찾아 주말마다 헤매[아시아경제 송화정 기자]#1.맞벌이 부부인 김정민(36)씨는 일요일 오후 장을 보러 인근 대형마트에 나갔다가 허탕을 치고 돌아왔다. 토요일에 집안 행사로 지방에 다녀오느라 장을 볼 시간이 없었는데 마트가 휴점하는 주인 것을 깜빡했기 때문이다. 김씨는 대형마트의 일요일 격주 휴무가 도입된 지 이미 꽤 됐지만 여전히 적응이 되지 않고 매번 휴점일을 확인해야 하는 등 불편한 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라며 불평했다. #2.수원에 사는 직장인 서윤정(32)씨는 최근 롯데몰 수원과 AK& 등 대규모 복합쇼핑몰 두 곳이 오픈하자 주말에 한 바퀴 돌 심산으로 차를 몰고 나섰다가 낭패를 봤다. 사전에 롯데몰은 주차 예약을 해야 하고 주차도 유료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에 주차는 AK& 쪽에 하려고 생각했으나 AK&도 주차 규제가 적용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AK플라자가 이전에는 주차 규제를 받지 않았으나 AK&이 오픈하면서 롯데몰과 마찬가지로 주차예약제와 유료 주차를 시행하게 됐다. 양쪽 쇼핑몰에서 구경도 하고 이것저것 살 생각에 애써 차를 가지고 갔으나 주차문제가 여의치 않아 그냥 돌아섰다. 유통업계가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꽁꽁 얼어붙은 소비심리에 추운 겨울을 보내고 있는 상황에서 몇 년째 유통업체를 억누르고 있는 규제의 무게는 갈수록 무거워져만 가고 있기 때문이다. 중소상인 보호를 명분으로 시작된 유통업 관련 규제는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에서 시작해 쇼핑몰과 아웃렛 그리고 면세점까지 거의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는 모습이다. 문제는 이 같은 규제가 또 다른 문제점들을 양산해내고 있다는 점이다. 중소상인 보호라는 명분을 악용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고 매번 불편을 감수해야 하는 소비자들의 인내심도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 규제에 억눌린 탓에 유통업체들의 실적은 바닥으로 곤두박질쳤고 살아나야 할 내수는 여전히 기력을 되찾지 못하고 있다. ◆대형마트 규제 3년 “탈출구가 없다”= 대형마트의 의무 휴업 규제가 올해로 3년째를 맞고 있는 가운데 대형마트들의 실적 부진이 지속되고 있다. 대형마트의 매출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역신장을 기록 중이다.이마트에 따르면 기존점 기준 올해 1~11월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2% 감소했다. 지난해에는 3.9% 역신장했다. 홈플러스도 같은 기간 1.5% 매출이 줄었다. 지난해에는 4.9% 역신장을 기록했다. 롯데마트는 지난해 4.8% 감소한 데 이어 올해 1~11월에도 2.8% 줄었다. 영업규제 이후 신규점포 수도 계속 줄고 있다. 홈플러스는 2012년 9개에서 지난해에는 6개로 줄었고 올해는 1개에 그쳤다. 이마트는 8개, 지난해 2개, 올해 1개로 감소했다. 롯데마트는 올해 제2롯데월드와 롯데몰 수원 등 복합쇼핑몰이 오픈하면서 지난해와 같은 6개점이 신규 오픈했다. 신규출점이 제한되면서 매출 증가에 빨간 불이 켜졌고 매출 확대를 위한 할인행사를 이어가면서 수익성도 악화됐다. 대형마트가 어려워지면서 협력사의 상황도 악화됐다. 이대영 한국유통생산자연합회 회장은 지난 3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지역 경제와 지역민을 위한 대형마트 정책 토론회'에서 지난 2년간 대형마트 매출이 감소하면서 납품 중소기업과 농어민의 매출도 2조원 정도 줄었다고 밝혔다. ◆릫호갱릮이 된 유통업체= 중소상인의 보호를 명분으로 시행되고 있는 유통업 규제가 일부의 이익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되면서 유통업체들은 소위 '호갱(어수룩해 이용하기 좋은 손님)' 취급을 받고 있다. 대형마트나 아웃렛 등이 들어서게 되면 주변 지역 상인들이 과도한 경제적 보상을 요구하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달 세종시에 대형마트로는 처음으로 문을 열게 된 홈플러스는 지역 상인과의 마찰로 개점 예정일에 문을 열지 못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당시 세종시 전통시장연합회는 '지역 상권 죽이기'라며 개장을 반대하고 나섰고 영업손실을 이유로 30억원의 상생기금을 요구했다. 전통시장의 경우 홈플러스와의 거리가 유통산업발전법에서 지정한 1~3㎞를 넘기 때문에 사업조정 대상이 아니었다. 역시 지난달 말 오픈한 롯데몰 수원도 지역 상인들의 반대로 오픈에 어려움을 겪다가 재래시장 발전 기금 170억원을 내놓기로 합의하고 개장을 할 수 있었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일단 어떤 지역에 대형마트나 아웃렛이 입점한다는 얘기가 나오면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다가 건물이 완공되고 오픈 준비를 시작하면 서서히 지역 상인이라는 사람들에게 전화가 오기 시작한다”면서 “마트나 아웃렛 오픈으로 자신이 입은 피해를 보상하라는 내용이 대부분”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들 중 일부는 보호를 받아야 할 중소상인과는 거리가 멀다는 얘기도 나온다. 이 관계자는 “보상을 요구하는 상인들 중 일부는 해당 지역에서 슈퍼마켓 등을 몇 개씩 운영하는 소위 지역 유지인 경우도 많다”면서 “대형마트나 아웃렛이 중소상인의 생존권을 침해한다는 인식이 생겨난 뒤부터 마치 당연하다는 듯이 돈을 요구해온다”고 말했다. 확장 공사를 진행 중인 신세계사이먼의 여주프리미엄아울렛도 인근에 있는 여주375st아울렛 상인들의 반발에 부딪쳐 진통을 겪고 있다. 여주375st아울렛은 여주프리미엄아울렛이 문을 연 뒤 이 지역을 찾는 소비자들을 공략하기 위해 아웃렛 근처에 문을 열었다. 중소상인을 자처하고 있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여주 이외 지역에 주소지를 둔 사람으로 중소상인이라기보다는 이 지역에 투자를 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다. 막대한 자금을 보유한 투자자들까지 중소상인 보호를 위한 사회 분위기를 이용하고 있는 것이다. ◆누구를 위한 규제인가= 유통업 규제를 통해 불이익을 겪는 것은 비단 대형마트와 아웃렛 뿐만이 아니다. 유통업체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하루아침에 불편을 떠안게 됐으며 납품을 하는 협력사들도 같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당시 홈플러스 세종점의 개장이 미뤄지면서 홈플러스에 입점한 임대매장 점주들과 납품업체들은 한숨을 쉬어야 했다. 오픈일에 맞춰 전단지를 제작해 배포하고 종업원을 채용했는데 영업이 중단될 경우 그로 인한 손실을 개별 점주가 감당해야 하기 때문이다.전통시장을 살리겠다는 취지로 대형마트 의무 휴업이 시작됐지만 정작 대형마트 이용객들의 발길을 전통시장으로 돌리게 하는 데는 크게 효과를 보지 못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 전통시장 매출액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3조원 넘게 감소했다. 대형마트 관계자는 “2012년 이후 대형마트 영업규제로 인해 대형마트의 매출이 감소한 것은 물론 납품 농가와 중소 협력사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월 2회 휴무가 골목상권을 보호하기 위한 것인데 그 효과가 제대로 검증은 되는 건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납품 농가와 중소 협력사, 그리고 소비자들도 고려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송화정 기자 pancak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