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빗이끼벌레, 금강 물 생태계에 나쁜 영향”

‘충남도 큰빗이끼벌레 민·관공동조사단’, 민·관공동조사단 중간보고회…물속 용존산소 바닥 내고 암모니아성질소는 크게 늘어, 전문가들 진행방향 등 논의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금강유역에서 대량 발견된 큰빗이끼벌레는 물속 용존산소를 바닥내고 암모니아성질소를 크게 늘리는 등 수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12일 충남도 및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충남도 큰빗이끼벌레 민·관공동조사단’(단장 허재영 대전대 교수)은 11일 충남발전연구원에서 중간보고회를 갖고 조사 결과 보고 후 활동방향을 논의했다.민·관공동조사단은 지난달 17일 금강 공주보에서 큰빗이끼벌레 검체를 채취, 금강물과 증류수가 각각 든 50ℓ 반응조 4개에 큰빗이끼벌레 0.5~2%를 넣고 용존산소(DO)와 암모니아성질소(NH3-N) 농도변화, 생태독성 등을 실험했다.결과 큰빗이끼벌레 2%를 넣은 수조 속 금강물의 경우 용존산소가 최초 11.2mg/ℓ에서 42시간 이후 0mg/ℓ로 나빠졌다. 1.0%의 큰빗이끼벌레를 넣은 금강물은 52시간 만에 용존산소가 바닥났으나 8일째부터 약간 오르고 증류수는 용존산소 0mg/ℓ 상태가 이어졌다.암모니아성질소 농도는 큰빗이끼벌레 양과 관계없이 58∼64시간 사이 두 배쯤 높아졌다. 2%의 큰빗이끼벌레를 넣은 금강물은 처음 0.044mg/ℓ이던 암모니아성질소가 20일 후 11.756mg/ℓ까지 치솟았다.큰빗이끼벌레 1%를 넣은 금강 물도 18일째 9.958mg/ℓ까지 암모니아성질소농도가 짙어지고 0.5%를 넣은 금강물은 16일째 4.964mg/ℓ로 가장 높았다.생태독성은 조사 첫날 및 4일 후 물벼룩을 이용, 실험한 결과 생태독성값(TU)이 ‘0.0’으로 나타났다.이번 실험은 물 흐름이 없는 반응조에서 이뤄져 금강의 조건과 다를 수 있으나 정체수역에서 큰빗이끼벌레가 많이 죽으면 용존산소 부족이나 암모니아농도 증가 등을 불러와 물 속 동식물서식환경에 큰 지장을 줄 것이라는 게 민·관공동조사단의 판단이다.보고자로 나선 이상진 충남발전연구원 박사는 “대량으로 생긴 큰빗이끼벌레가 사라지면 금강 물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조사·연구를 더 해 큰빗이끼벌레가 생기는 것을 막을 금강관리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중간보고회에선 금강의 하천환경과 큰빗이끼벌레 서식현황 등의 조사결과도 발표됐다. 생물화학적산소요구량(BOD)이나 총인(T-P) 등 하천수질기준은 좋아지고 있었으나 금강 3개 보에서 클로로필-a 농도가 해마다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금강 정비사업 후 물 흐름이 떨어지고 유기물 양은 늘었으며 3개 보 가운데 공주보에서 퇴적토 오염농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한편 충남도는 지난 8월 ‘큰빗이끼벌레가 사라지면 수질에 미치는 영향분석’을 했고 같은 달 민·관전문가 합동토론회도 열었다. 이어 9월엔 민·관공동조사단을, 지난달 30일엔 공동조사단간담회를 열었다. 이날 중간보고회는 큰빗이끼벌레 명명자인 서지은 우석대 교수 등 분야별 전문가 1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민·관공동조사단은 큰빗이끼벌레 분포도 등 세부조사를 벌여 수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있게 조사할 계획이다.큰빗이끼벌레는 북미지역과 일본, 우리나라, 유럽 일부 나라에서 발견되는 태형동물로 물 흐름이 느린 곳에서 많이 자라는 특성이 있다.전문가들은 금강에서의 큰빗이끼벌레 없애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대량으로 자라지 못하게 하기위해선 물 흐름을 더 빠르게 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있다.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newsva.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왕성상 기자 wss404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