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1900선 붕괴…''추가 하락은 제한적'(종합)

[아시아경제 서소정 기자, 오종탁 기자]코스피가 외국인의 '팔자' 공세에 장중 1900선이 붕괴됐다. 외국인이 11거래일 연속 팔자 공세를 퍼부으면서 낙폭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유럽을 중심으로 글로벌 경기둔화가 확산되는 데다 외국인들도 지속적으로 발을 빼면서 당분간 국내증시의 조정은 계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단기 낙폭 과대에 따른 기술적 반등 구간도 나타날 수 있어 시장상황을 주시하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란 분석이다. 17일 코스피는 오후 1시28분 현재 전날보다 19.43포인트(1.01%) 하락한 1899.40을 나타내고 있다.이날 지수는 4.68포인트(0.24%) 오른 1923.51로 시작했으나 장 초반 하락세로 돌아선 뒤 낙폭을 키우는 중이다. 오후 들어 외인이 팔자세를 확대하면서 1900선을 위협받던 코스피는 연기금마저 지수 방어에 나서지 않으면서 결국 1900선 사수에 실패했다. 코스피가 장중 1900선을 내준 것은 지난 2월6일 이후 254거래일 만에 처음이다. 올 들어 종가 기준으로 1900선을 밑돈 날은 지난 2월 4일과 5일이다. 2월4일은 1886.85, 2월5일은 1891.32까지 밀렸다. 이 시각 현재 외국인은 2214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팔자 공세를 퍼붓고 있다. 지난 1일부터 11거래일째 코스피에서 발을 빼는 모습이다. 개인과 기관은 각각 1372억원, 746억원을 순매수했다. 전날 코스피는 미국 경제지표가 부진하게 나왔다는 소식에 1920선을 밑돈 채 마감했다. 유럽에 이어 미국까지 경기침체 조짐을 보이면서 코스피 1900선 붕괴를 점치는 시각이 나왔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도 줄줄이 하락세다. 대장주인 (-1.43%)를 비롯해 (-2.68%), (-2.33%), (-1.87%), (-1.43%) 등이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다. (0.38%), (0.45%), (1.22%) 등은 오름세다. 상한가 2개 포함 282개 종목이 오르고 있다. 하한가 1개를 비롯해 529개 종목은 약세다. 65개 종목은 보합권이다.전문가들도 심리적 지지선인 1900선이 무너지면서 바닥 찾기에 나서고 있다. 국내 증시가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 조정에 유럽 경기 불안 우려까지 겹치면서 모멘텀을 찾지 못하는 가운데 당분간 부진을 이어갈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다만 정부가 경기부양을 위한 정책을 잇달아 내놓고, 달러 강세 기조가 완화되면서 추가적인 하락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홍성국 KDB대우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코스피 시장은 일시적으로 1900선 하회 이후 다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업 실적 문제가 현재 발목을 잡고 있기는 하지만 하반기 이후 정부 정책모멘텀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될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홍 센터장은 "미국의 조기금리인상 논란도 10월 이후부터는 잠잠해질 것"이라며 "당분간 국내증시가 박스권 내에 머무르기는 하겠지만 점진적인 회복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박성훈 우리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경제지표 불안에 유럽 경기 불안 등이 가세하면서 국내증시에 충격을 주고 있다"며 "그러나 주요 가격지표들의 급격한 변동성과 각국의 발빠른 대응 가능성 등을 감안할 때 급격한 심리위축 국면은 서서히 완화될 개연성이 크다"고 말했다. 김지형 한양증권 연구원은 "국내증시가 제한적인 내부 모멘텀으로 인해 대외변수 개선이 뒷받침돼야만 의미있는 반등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며 "앞으로 있을 중국 4중 전회(20~23일)에서 3분기 성장률 발표(21일, 예상 7.2%, 이전 7.5%) 시점과 맞물려 중국정부의 경기부양책 시사 여부와 ECB의 스트레스 테스트 결과 등 대외적인 여건상황이 국내 증시에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오종탁 기자 tak@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서소정 기자 ssj@asiae.co.kr증권부 오종탁 기자 ta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