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우내순대'는 왜 '병천순대'로 바뀌게 됐을까

-'고지도를 통해 본 충청지명연구' 완간-순우리말 통해 지역 역사·정체성 찾기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아시아경제 오진희 기자] 충청도 지방 54개 고을의 1만개에 달하는 한자 지명이 200여년 만에 순우리말 이름으로 다시 살아났다. 국립중앙도서관은 ‘서울지명연구’(2010년), ‘경기지명연구’(2011년)에 이어 최근 충청도 지방의 지명에 대한 순우리말 이름과 현재의 위치를 정리한 ‘고지도를 통해 본 충청지명연구’를 완간했다. 이같은 자료는 한국고전적종합목록시스템(//www.nl.go.kr/korcis) 자료실에서 살펴볼 수 있다.이번에 발간된 충청도 순우리말 지명과 관련한 이 책은 1720년대에 제작된 그림식 고을지도와 1789년에 편찬된 ‘호구총수’에 있는 충청도 54개 고을의 1만 여 한자 지명을 순우리말 이름으로 바꾸고 현재의 위치를 재정리했다. 또 고지도와 지리지 속에 담긴 충청도 각 고을의 역사, 고을 중심지의 이동 과정, 도시의 구조와 상징 경관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다. 예를 들면 100여 년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이 아우내라 부르던 지명을 한자로는 ‘竝川(병천)’이라 표기했다. 竝(병)과 川(천)은 ‘아우르다’와 ‘내’라는 한자의 뜻을 따서 표기한 것으로, 100여 년 전까지만 하더라도 사람들은 ‘竝川(병천)’이라 써놓고 ‘아우내’라고 읽었다. 하지만 지금은 모두 ‘병천’이라 읽게 돼 아우내면이 아니라 병천면으로, 아우내순대가 아니라 병천순대로 부르게 된 것이다.도서관 관계자는 “이 연구서를 통해 충청남도, 충청북도,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에 흩어져 있는 조선시대 충청도 옛 고을의 한자 표기지명에 대한 순우리말 이름이 다시 조명 받고 지방자치단체와 시민사회단체의 지역 정체성 찾기에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도서관은 오는 2015년에는 전라도지명연구를 추진할 예정이다. 이뿐 아니라 연차적으로 경상도, 강원도와 북한 지역까지 확대할 계획이다.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오진희 기자 valer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