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터너 OECD 국장 '금융위기 이후 1인당 잠재GDP 2.25% 하락'

[아시아경제 박연미 기자] 데이비드 터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장은 2일 "OECD 국가들을 대상으로 추정한 결과 금융위기는 노동생산성 하락을 통해 1인당 잠재GDP(2014년 기준)를 평균 2.25% 떨어뜨린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앞으로 통화·재정정책과 위기 복원력 개선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때 금융위기의 중기적 효과를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터너 국장은 이날 소공동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2014 한은 국제컨퍼런스 -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성장잠재력 확충'에 참석해 '글로벌 금융위기가 OECD 국가들의 잠재GDP에 미치는 영향'을 주제로 발표한 뒤 이렇게 말했다. 잠재GDP는 잠재성장률 계산을 위해 수집하는 기본 데이터를 말한다.그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중기적인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실현된 1인당 잠재GDP와 위기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면 달성했을 1인당 잠재GDP를 비교해야 한다"면서 "1인당 잠재GDP의 변동을 노동생산성 변동과 고용 변동으로 분리한 뒤 요인별로 금융위기 이전 추세치의 연장 등을 통해 금융위기가 발생하지 않았을 때의 1인당 잠재GDP 변동을 추정했다"고 설명했다. 터너 국장은 다만 "금융위기에 따른 잠재GDP 영향은 국가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면서 "잠재GDP가 10% 이상 하락한 국가들*이 있는 반면, 독일, 일본 등 몇몇 국가들의 경우에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노동생산성의 하락은 낮은 총요소생산성과 낮은 1인당 자본때문"이라면서 "위기 이전 1인당 자본 증가세가 컸던 에스토니아, 그리스, 아이슬란드, 헝가리, 한국, 포르투갈의 경우 1인당 자본의 감소가 1인당 잠재GDP 하락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터너 국장은 또 "금융위기 이전의 경제여건 중 높은 인플레이션, 플러스의 생산 갭, 금융 과잉(과잉투자, 경상수지 적자, 낮은 금리, 높은 부채 수준 등), 1인당 자본의 증가 추세 등이 금융위기 이후 1인당 잠재GDP 하락과 연관성을 보였다"면서 "향후 통화·재정정책 및 위기 복원력 개선을 위한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 글로벌 금융위기가 가지는 중기적인 효과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그는 먼저 "글로벌 금융위기로 인한 잠재GDP의 손실 정도가 큰 경우, 재정적자 확대의 효과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으므로 재정적자와 공공부채 등 재정불균형의 정상화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했다. 터너 국장은 나아가 "통화정책이 경제 회복에 미치는 영향이 낮아지는 한계점에 빠르게 도달하고 있으므로, 비전통적 통화정책의 조기종료 필요성이 제기될 가능성도 있다"고 환기했다. 그는 더불어 "금융위기에 대한 취약성을 유발하는 경제여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위기에 대한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을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정책 수립에 활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연미 기자 chang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연미 기자 chang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