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머니 공습..한국 게임 업계엔 '독 vs 약'

시총 125조원 막강한 자본력으로 중소형사 지분 사들여인구 수 세계 1위·경제 규모 세계 2위 등 환경이 게임산업에 영향 英·獨 등도 완화된 규제로 유치경쟁…시장잠식 우려
[아시아경제 조유진 기자]"시가총액 125조원 텐센트가 마음만 먹으면 국내 유력 게임사들을 모두 다 사들일 수 있습니다. 국내 게임사들이 중국 최대 퍼블리셔(유통사)인 텐센트에 줄을 서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게임산업이 중국 시장에 종속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국내 중대형 게임사인 N사 대표는 최근 기자와 만나 "거대 중국 자본의 국내 게임시장 유입이 심상치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빠르게 성장하는 중국 공룡 기업들이 거대 자본을 앞세워 국내 게임시장을 빠르게 장악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한국 게임 기업에 눈독을 들이는 나라는 중국만이 아니다. 영국·독일 등 유럽 국가들도 한국 게임기업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지난해 정부의 게임 규제가 극에 달한 만큼 올해 국내 게임사들의 해외행이 봇물을 이룰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시가총액 125조원에 달하는 텐센트가 막강한 자본력을 이용해 국내 중소형 게임사 지분을 속속 사들이고 있다. 텐센트는 지난해 화이트아웃과 NSE엔터테인먼트(40억원)에 투자를 단행했다. 캡스톤파트너스라에 LP형태로 참여해 스타트업 리로디드스튜디오(54억9500만원), 레드덕(15억원), 탑픽(20억2000만원) 등에 투자했다. 벤처캐피털(VC)의 투자금액이 1~10억원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통큰 투자인 셈이다. 이렇게 지분 투자 형태로 흘러들어 온 금액만 600억원을 넘어서는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텐센트는 투자기업의 IPO(기업공개)를 통한 시세 차익 실현이나 성장으로 인한 수익 환원, 기술력과 노하우에 무임승차 등 유무형의 시너지를 노리며 국내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2012년 일찍이 카카오에 920억원을 투자해 수십억대 차익을 맛본 것으로 알려졌다. PC메신저 사업으로 시작한 텐센트는 2005~2006년을 기점으로 게임 퍼블리싱을 주력 사업으로 전환했다. 이때 한국 게임을 현지서 유통하면서 시가총액이 1만2400% 성장했다. 텐센트 기업가치로 보면, 국내 1~2위 게임사 넥슨(5조) 과 엔씨소프트(4조5000억원)는 수십개를 사고도 남는다.  한국의 온라인 게임 가능성에 눈을 뜬 샨다의 액토즈소프트 인수부터, 2010년 아이덴티티게임즈가 인수까지 1000억원 규모의 초대형 인수합병(M&A)은 중국 업체에 의해 이뤄졌다. 인구 수 세계 1위, 경제규모 세계 2위 등 중국의 거스를 수 없는 환경이 게임산업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하다. 게임백서에 따르면 지난 2012년 중국 게임 시장 규모는 136억달러(약14조원)을 기록했다. 같은 해 우리나라는 9조원을 기록해 중국과 격차가 벌어졌다. 중국 게임 시장 규모는 지난 2009년부터 한국을 추월했다. 한국의 게임을 수혈받아 서비스하던 텐센트가 한국의 1위 게임회사보다 큰 업체로 성장한 셈이다. 국내 게임에 대한 러브콜은 정부의 규제 바람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판호정책을 통해 자본만으로 중국 내에 게임을 유통할 수 없는 정책을 고수해왔다. 이 때문에 국내 게임사들도 중국 유통사들을 통해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영국이 금융시장을 장악했듯 유럽 국가들이 완화된 규제로 국내 유수의 게임사들을 빠르게 유치해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글로벌 공세를 바라보는 게임사들의 심경은 복잡하다. 자본 유입이나 글로벌 협업이 생태계 환경 조성에 긍정적이라는 시각도 있다. 거대 내수시장을 가진 중국 진출을 노리는 국내 게임기업이 친한(親韓) 분위기 속에 초기 인지도를 높이는데 긍정적이라는 판단이다. 하지만 거대 자본이 국내 게임산업을 좌지우지하면서 우리 게임기업들의 고유 브랜드나 산업의 근간이 흔들릴 수 있다는 위기감도 상존한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 샨다가 액토즈소프트르를 558억원에 40%를 인수한 뒤 차츰 지분을 추가 매입해 100% 자회사로 편입한 바 있다"며 "하루가 다른 인터넷 산업 속성상 국내 게임기업들이 눈치채지 못하는 사이 국내 게임산업이 공동화될까 우려된다"고 말했다.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조유진 기자 tin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