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소비자마저 지갑닫아 경기회복 더 힘들어져

[아시아경제 박희준 기자]경기전망이 암울해지면서 일본의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고 있다. 이 때문에 제로 금리 상태에서 돈을 풀어 4년 사이 세 번째 경기침체를 벗어나려는 노다 요시히코 총리정부의 정책운영이 더욱 더 힘들어질 전망이다. 블룸버그통신은 13일 일본의 가계는 암울한 경기전망으로 위험자산인 주식 등은 피하고 은행예금에 치중하는 탓에 2005년 이후 가장 많은 현금을 꼭 쥐고 있다고 보도했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주식과 채권,투자신탁 등 유가증권이 가계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5년 이후 가장 낮다. JP모건증권의 아다치 마아미치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일본 사람들이 위험을 감수할 인센티브가 없다”면서 “사람들은 그냥 돈을 은행에 넣고 있으며 미래에 다시 유가증권으로 갈 것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일본 소비자들이 현금을 쥐고 있는 것은 경기전망이 암울하고, 대기업들이 고용을 줄이는 한편,임금도 삭감해 소득전망이 불투명해지고 있는 탓이 크다.일본의 성장률은 3·4분기에 -3.5%를 기록한 데 이어 4·4분기에도 -0.4%를 기록해 교과서서상의 ‘경기침체’에 빠질 것으로 블룸버그는 내다봤다. 일본 정부의 경기전망 조사 결과도 암울하기는 마찬 가지다. 경기관측자가 본 2~3개월뒤의 전망을 나타내는 일본정부의 공식 ‘경기동향’ 지수는 10월 중 41.7로 지난해 3월 쓰나미와 대지진 발생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이 수치가 기준치 50 아래로 떨어졌다는 것은 사람들이 경기가 더 나빠질 것으로 보고 있다는 뜻이다. 기업들은 해고의 칼날을 휘둘려 소비자들이 지갑을 꽁꽁닫게 한다. 세계 최대 마이크로 컨틀로럴 칩 제조회사인 르네사스는 국내 직원 1만 명을 감원할 계획이며 지난해 적자를 낸 샤프와 파나소닉은 흑자전환을 위해 일자리와 생산라인을 감축하고 있다.또 대기업들은 겨울 보너스를 깎고 있다.일본 재계를 대표하는 게이다렌이 지난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대기업들은 겨울 보너스를 지난해보다 2.7% 줄인 78만1396엔으로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일본 기업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는 것은 유럽과 중국 등 주요 수출시장의 경기가 부진하고 엔화강세로 수출이 지난달 10.3% 하락한데 대한 대응조치로 풀이된다. 그러나 감원과 소득감소에 이은 심리 악화는 소비자들이 지갑을 닫게 했다. 3·4분기중 민간소비는 1.8% 감소하면서 성장률 하락에 기여했다. 민간 소비는 넉달 연속 줄었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정부가 돈을 풀어 경기를 살리는 양적완화 정책을 펴봐야 별 소용이 없다. 일본은 거품붕괴이후 돈이 생기면 부채를 축소하는 데 써 돈을 아무리 풀어도 투자와 소비로 흘러가지 않는 유동성 함정과 ‘대차대조표’ 불황에 빠져 있다. 현금은 돌고돌면서 경기를 살리지 않고 생기는대로 은행으로 들어가버린다. 노다 요시히코 총리정부가 풀어야 할 가장 큰 과제가 바로 이것이다. 노다 총리 정부는 다른 문제도 안고 있다. 경제는 백척간두에 올라있는데 정치권은 정쟁만 벌이고 있는 게 하나다. 국가 세입부족을 해결하기 위한 적자국채를 발행하는 내용을 담은 ‘특별공채발행법안’을 놓고 집권 민주당과 제 1야당이 대립하면서 국가재정이 바닥나고 지방정부도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커졌다.둘째는 국가부채를 우려해 재정을 통한 경기부양 규모가 제한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일본 정부는 지난달 26일 7500억 엔(미화 90억 달러) 규모의 경기부양안을 발표했는데 이는 지난해 3월 쓰나미와 대지진이후 경기부양과 재건을 위해 투입한 20조엔에 비하면 턱없이 부족하다. 일각에서는 하반기 경기침체를 감안해 일본 정부는 2조7000억엔 규모의 추가 경기부양책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스미토모 미츠이 자산운용의 무토 히로아키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노다 총리정부의 임기가 곧 만료되고 재정적자 규모가 너무 크고 정치권의 교착상태를 보면 합의안을 도출하기가 쉽지 않다”고 우려를 표시했다.박희준 기자 jacklondo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박희준 기자 jacklondo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