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재배 면적 10% 백수病..쌀 생산 '타격'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벼 이삭이 하얗게 말라죽는 백수 피해 지역이 갈수록 늘고 있다. 태풍 볼라벤과 덴빈이 연이어 농지를 덮친 탓이다. 급기야 피해 면적이 벼 전체 재배 면적의 10%를 넘어섰다. 태풍 곤파스가 불어닥쳐 백수 피해가 가장 컸던 2010년 때보다 상황이 더 심각하다. 추수를 앞둔 시점에 올해 쌀 생산량이 급감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5일 농림수산식품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까지 재난안전대책본부에 접수된 전국의 벼 백수 피해 면적이 9만2000㏊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전남이 5만㏊로 피해가 가장 컸고, 이어 전북 3만4000㏊, 충남 6000㏊, 경남 1000㏊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지금까지 백수 현상으로 피해 규모가 가장 컸던 때는 지난 2010년으로 당시 태풍 곤파스가 충남 지역을 강타하면서 피해 지역이 5만300㏊에 달했다. 그러나 이번에는 2010년 보다 피해 지역이 2배 가까이 늘었다. 역대 최악의 피해를 본 셈이다.지난달 통계청이 발표한 올해 벼 재배면적은 84만9000㏊ 정도다. 이번 백수 피해 면적이 9만2000㏊ 규모니, 우리나라 벼 전체 재배 면적의 10%가 넘는 지역이 백수 피해를 입은 셈이다. 올해 쌀 생산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얘기다.작년 국내 쌀 생산량은 422만t 정도였다. 여기서 백수 피해지역(벼 재배 면적의 10%인 40만t)을 뺀다고 가정하면 올해 쌀 생산량은 380만t까지 줄어들 수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물론 피해 지역 벼 전체를 수확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조사 과정에서 벼 상태를 분류하다보면 피해 규모는 어느정도 줄어들기 마련이다. 하지만 역대 최대의 피해가 접수된 만큼 올해 쌀 생산량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백수 피해를 입은 전남 지역의 한 농민은 "쌀 한 톨이라도 더 건져보려고 애를 쓰고 있지만, 피해가 워낙 심해 쉽지 않은 상황"이라며 "올해 이 지역에서는 쌀 생산량이 급감할 것"이라고 말했다.농식품부 관계자 또한 "(백수)피해 규모가 커 올해 쌀 생산량이 작년보다는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백수 현상은 시간이 지나면 피해가 어느정도 줄어들기 때문에 (쌀 생산량이)얼마나 줄 것인지는 아무도 장담 못한다"며 "백수 피해 최소화 대책 추진과 함께 피해농가 지원 방안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덧붙였다.벼 작황 조사는 통계청이 매년 9월 15일 기준으로 실시하며, 조사 결과는 10월 10일 전후로 발표된다. 내달 10일 정도면 백수 피해를 감안한 올해 쌀 생산량의 추정치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백수 현상 수정기의 벼가 강한 비나 바람에 심각한 상처를 입어 수분을 제대로 빨아들이지 못해 하얗게 말라버리는 현상을 말한다. 벼에 알맹이가 없다보니 '쭉정이벼'라고 부르기도 한다.고형광 기자 kohk0101@<ⓒ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고형광 기자 kohk0101@ⓒ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