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2% 부족한 우리금융 매각 작업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영향력이 검증된 감독이 메가폰을 잡았다. 수백조원 규모의 '블록버스터 급' 판이 짜여져 있다. 하지만 생각보다 캐스팅이 쉽지 않다. 앞서 두 번이나 판이 엎어졌던 트라우마가 있어서다. 흥행 여부도 불투명하다. 아예 제작 자체가 어려울 수 있다는 소문도 들린다. 우리금융지주 민영화에 대한 얘기다. 현 정부 들어 세 번째 시도되는 매각 작업은 '영원한 대책반장'으로 불리는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주도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마켓에 대한 신뢰가 있다. 우리금융을 용해(溶解)할 만한 시장"이라며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입찰의향서 제출 등 과정을 과감히 생략하고, 매수자의 자율적인 경영권 행사도 보장했다.그러나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인 '원매자'는 아직 없다. 가장 가능성이 높은 KB금융지주는 "여력이 없다"며 발을 뺐다. 다른 금융지주사들은 현금사정이 여의치 않거나, 이제 막 출범해 내부 정비에 바쁘다. 정부는 외국계 사모펀드에도 문을 열어뒀지만, '제 2의 론스타' '먹튀' 논란으로 쉽지는 않아 보인다. 우여곡절 끝에 주인이 나선다고 해도 문제다. 금융노조와 우리금융노조협회의회는 벌써부터 우리금융 민영화 반대시위에 나서고 있다. 국내 금융지주사로의 합병이 성사될 경우 구조조정이나 인력재편 등 후폭풍이 예상되기 때문이다.'시기'에 대한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우리금융과 같은 대규모 민영화 작업이 정권말기에 추진해서 성사될 수 있겠냐는 회의론이다. 공적자금 회수에 최선을 다했다는 제스쳐 차원에서 매각작업에 나선 것이라는 평가는 그래서 나온다. 물론 원론적으로 우리금융지주의 매각은 빠를수록 좋다. 공적자금 회수 문제 뿐 아니라 국내 금융시장의 경쟁력 제고 차원에서도 그렇다. 그러나 앞선 두 번의 실패에 대해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 의욕과 말이 앞섰을 뿐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다가 결국 무위에 그쳤다. '대책반장'이 세번째로 도전하는 우리금융지주 민영화가 또 다시 실패로 돌아간다면, "국도 쏟고 발등도 데는" 격이 되지 않을지 우려스럽다.김현정 기자 alphag@<ⓒ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현정 기자 alphag@ⓒ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