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유종목 처분 나선 장하성펀드, 퇴장?

[아시아경제 김영식 기자]기업 지배구조 개선와 기업가치 제고를 기치로 등장한 라자드한국기업지배구조개선펀드(일명 ‘장하성펀드’)가 출범 5년을 맞았지만 별다른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유종목 처분에 나서 한계에 이른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장하성펀드는 올해 들어 일부 보유종목의 지분 매각에 나섰다. 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운용사인 라자드코리아자산운용 측은 지난 3일 삼양제넥스 주식 8.48%(25만3163주)를 모두 처분했다고 공시했다. 삼양제넥스의 주가는 지난해 11월 7만4700원까지 올랐다가 계속 하락세를 보여 3월 5만3500원까지 떨어진 상태다.자산운용업계에서는 지난해부터 대한화섬·화성산업 등에서도 외국인 매도 물량이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으며 이것이 장하성펀드의 지분 매각일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재벌개혁운동으로 유명한 장하성 고려대 교수의 주도 아래 지난 2006년 출범한 ‘장하성펀드’는 직접 경영참여를 목적으로 기업의 지분을 획득해 주총 표대결에서 소액주주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명성을 날렸다. 대한화섬·한솔제지 등에 사외이사와 감사를 선임하는 데 성공했고 관련주가 급등했다. 펀드 규모도 2008년 2000억원대 이상으로 커졌다.그러나 금융위기 후인 2009년부터 장하성펀드의 수익률이 반토막으로 떨어지고 2010년에는 태광산업·대한화섬 등 주총에서 잇따라 배당금증액과 감사교체 요구 관철에 실패하는 등 위력이 크게 약해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올해 주총 시즌에서도 남양유업과 삼천리에 요구한 주주제안이 모두 부결되며 ‘연패’했다. 이에 따라 장하성펀드가 주주제안이나 표결 외에는 별다른 해결책을 구사하지 못한 채 수익성 회복부터 급급한 상황이다 보니 기업 지배구조개선이라는 당초의 취지가 퇴색하고 사회적 비용만 더 들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정작 지지를 받아야 할 소액주주들에게조차 외면한다는 비판과 함께 일부에서는 보유지분 매각을 두고 사실상 효력을 다한 장하성펀드가 청산을 앞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김영식 기자 grad@<ⓒ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증권부 김영식 기자 grad@ⓒ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