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8월에만 1조원…국내 채권형 펀드로 몰리는 자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8월에만 1조원…국내 채권형 펀드로 몰리는 자금
AD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금리 인상 우려가 완화되면서 국내 채권형 펀드로 자금이 몰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신영증권 및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2분기 이후 국내 채권형 펀드는 증가세로 전환했다.


국내 채권형 펀드는 지난 2016년 10월 이후 미국의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로 자금이 유출되는 약세를 보여왔다. 하지만 올 4월 이후 다시 순유입으로 전환돼 최근 들어 점점 더 유입 강도가 강화돼 가는 모습이다.

실제로 지난해 8조9000억원 순유출을 보였던 국내 채권형 펀드 설정액은 올해 1분기까지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6000억원 가까이 감소를 보였다. 하지만 2분기 들어서면서부터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자 2분기에는 5조8000억원 증가를 보였다. 이후 7월에는 2조6000억원 증가했으며, 8월에도 10일까지 9000억원 이상이 늘어나는 등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오광영 신영증권 연구원은 "이는 국내 금리가 연내 1회 이상 상승하기가 어렵다는 컨센서스와 함께 상승시기도 기존의 8월 보다는 10월 인상으로 무게추가 움직이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이로 인해 금리 인상 우려로 채권 관련 투자자금 집행을 미뤄 왔던 투자자들이 자금 집행을 서둘러 재개했다"고 설명했다.


또 최근 주식 시장이 높은 변동성을 보이면서 약세를 보이자, 기관 및 법인을 중심으로 리스크관리가 강화돼 자산배분상 주식보다는 채권 비중이 다소 높아지면서 신규 자금은 채권형 펀드 등으로 투자집행이 되고 있는 것으로 오 연구원은 추정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국내 채권형 펀드 중에서도 특히 초단기 채권형과 일반 채권형 등으로 자금 유입이 집중되고 있다. 단기 유동성 자금의 대표적인 투자처인 MMF의 설정액은 최근에 130조원대를 돌파하는 등 7월 이후에만 25조원 이상 증가하는 강세를 보였다.


초단기 채권형 펀드는 통상 MMF보다는 길게 투자하면서 상대적으로 ‘MMF+ 알파’ 수익을 추구하는 자금이 투자되는 펀드로 최근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자금 유입 증가 상위 공모 채권형 펀드의 대부분이 단기 채권형 펀드이다.


여기에 사모 채권형 뿐만 아니라 공모 채권형 펀드로도 자금 유입이 확대되고 있는 것도 또 하나의 특징이다.


오 연구원은 "기관과 법인 중심의 채권형 펀드의 특성상 사모 펀드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면서도 "최근에는 공모 채권형 펀드로도 자금 유입이 이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