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글로벌 기업 달러표시 채무 급증…달러 강세시 신흥국 빨간불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7초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글로벌 기업의 달러 표시 차입금이 급증하고 있어 향후 달러 강세 시 기업들의 채무상환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특히 신흥국의 경우 급격한 달러 강세가 기업과 금융기관 신용하락, 자국통화 약세의 악순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19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이 시장조사 업체 딜로직을 인용해서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2017년 말 기준으로 글로벌 기업(금융기관과 공기업 제외)이 은행, 기관투자가 등으로부터 달러 표시로 빌린 자금 잔고는 사상 최대인 21조865억달러다. 이 가운데 미국 기업을 제외한 각국 기업의 달러 표시 채무는 5조9150억달러로 약 4분의 1에 해당한다. 이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의 2배 수준이며, 엔화로 환산 시 일본 국내총생산(GDP)의 1.2배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금융위기 이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 완화로 거액의 달러를 저금리로 공급하면서 각국 기업들은 달러 표시 자금을 적극적으로 끌어모았다"고 전했다. 신흥국의 경우 기업의 달러 채무 잔고가 작년 말 기준으로 2조8350억달러에 달한다. 사상 최고치다. 미즈호종합연구소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돈이 남자, 투자자와 은행권이 신흥국에 적극적으로 대출을 해줬다"고 설명했다. 2019년까지 신흥국의 달러 채무상환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문제는 달러 강세다. 기업이 돈을 빌렸을 때보다 달러가 강해지면 자국 통화의 지급액수가 불어나 재무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는 설명이다. Fed가 올해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며 달러 강세 전환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10년간 자국 성장률 이상으로 달러기준 채무를 쌓아올려온 멕시코,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 지적된다. 자원가격 하락, 정치적 혼란 등으로 성장이 둔화하고 신용등급이 떨어지며 향후 기업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높다. 브라질 역시 GDP 대비 달러 채무가 확대된 국가로 꼽힌다. 대규모 자본유출 시 기업과 정부는 달러자금 재융자가 어려워진다.


일본은행 간부는 "중국에서 팽창하는 채무에 주의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중국의 경우 달러 채무의 GDP 대비 비율은 4% 정도다. 하지만 금액은 2017년 말 기준 4900억 달러로 일본의 3배다.


이 신문은 "1997년 아시아 외환위기는 금융기관 부실채권 문제 등으로 태국이나 인도네시아 등의 통화가치가 급락했고, 해당국들은 외환 보유액을 7배가까이 늘리며 대응했다"며 "자국 통화 표시 채권을 늘리며 외환위기에 대한 내성을 달고있지만,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에도 거액의 자금이 들어가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금리상승 여부도 주목된다. 신용도가 낮은 국가들의 경우 1년 이하 등 단기 기업대출이 많기 때문이다. 재 융자시 몇년전만해도 1%였던 금리가 3%전후로 뛰어오를 수 있다. 국제금융협회(IIF)는 지난달 "신흥국은 2018년 재융자 리스크가 크다"고 경고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 총재를 역임한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이에 대해 "간과할 수 없는 취약점"이라고 언급했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