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atests] 시집 ‘우리는 살지도 않고 죽지도 않는다’ 外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3초

[Latests] 시집 ‘우리는 살지도 않고 죽지도 않는다’ 外 우리는 살지도 않고 죽지도 않는다
AD


◆우리는 살지도 않고 죽지도 않는다(임경섭 지음/창비)=2008년 중앙신인문학상으로 등단한 임경섭의 두 번째 시집. 첫 시집 ‘죄책감’(문학동네 2014)에서 “세계를 향한 집요하고도 끈덕진 시선”으로 “삶 속에서 제 부재를 말하는 것들의 공간을 촘촘히 구축해”냈던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 서사를 이루지 못하고 점멸하는 메마른 현실을 응시하며 “아무것도 없는 곳, 그 시간과 공간에 다시 서사를 기입”함으로써 “이방의 드넓은 아름다움”(김혜순, 추천사)이 오롯이 펼쳐지는 독특한 시세계를 선보인다. 시편들이 산뜻하다.

곳곳에 등장하는 외국 인명들이 낯설다. 시인은 통상적인 시적 화자인 ‘나’의 자리에 거의 모든 작품마다 의도적으로 낯선 이름을 집어넣는다. 게다가 시적 공간도 대개가 “너무나 먼 곳”(페달이 돌아간다)인 이방(異邦)이다. 시에서 관습적 이름에 가까운 ‘나’의 부재가 오히려 ‘나’와 관계를 맺는 세계의 존재감을 더욱 강화하면서, 화자와 관계를 맺는 모든 존재와 풍경들이 더욱 또렷하게 모호해지는 기묘한 현실감을 드러낸다. 이로써 시인은 이름과 내밀하게 결속하던 관계들이 새롭게 열리는 다른 차원의 현실 속으로 우리를 안내하며, “해가 지기 전에 돌아오지 못할 수도 있”(페달이 돌아간다)는 ‘먼 곳’의 세계로 나아간다.


시인은 ‘나’로부터 시작되었지만 ‘나’로부터 멀리 달아난 삶의 모습을 그려낸다. 그러나 “멀어졌다가는 다시 돌아올 것들”(원탁)이기에 시인은 멀어진 삶을 억지로 당겨오지 않고 오히려 더 먼 것으로 만들어 그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삶의 실체를 뚜렷이 응시한다.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암흑” 속을 “달아날수록 갇히고 있다는 사실”(침)을 알기에 멀어져야 비로소 보이는 것이라고나 할까. 그렇다면 “아무도 없는 곳엔 아무도 없는 게 아니었다”(풀다)고 말하는 시인에게 세상은 마치 “끝이 보이지 않는 계단”을 오르듯, “하면 할수록 고민은 계속 과거가 되”고 “우리는 결국 현재를 벗어날 수 없”(아파트먼트 도나트)는 환(幻)의 세계일 듯싶다.

김혜순 시인은 “임경섭의 시는 반 박자 혹은 한 박자 느린 걸음으로 서서히 다가온다. 시인은 기존의 언어가 품고 있는 은유와 문장이 지니는 실효성을 찬찬히 의심하면서 자신의 삶 속에서 유유히 흘러가 사라져버리는 것들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한다”고 썼다. 그가 보기에 ‘시인은 지금, 이상한 현실주의를 실현하는 중이다.’ “시인은 관습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경계와 경계들이 놓여 있는/경계의 안쪽’(라이프치히 동물원)을 포착해내는 정밀한 새로운 언어를 찾기 위해 “계속 새로운 문턱을 넘는”(바시코프스카의 일흔여섯 번째 생일)다.


그러므로 임경섭의 시를 읽는 일은 하나씩의 고즈넉하고 단정한 여행을 그와 함께하는 것이다. 저쪽을 데려와서 이쪽을 새로이 구축하는 것이 시일진대, 임경섭의 시에서 저쪽은 상상력과 기억도 넘어선 ‘이방의 타자’다. 저쪽이 다가오자 나는 개명되고, 새로이 호명되어 이쪽에 무늬의 세상을 펼치게 된다. 그 무늬로 말미암아 지금 여기의 면적은 무한히 확장된다. 시인이 부재의 섬김에 경도하자 이방의 드넓은 아름다움이 우리 앞에 도래하는 것이다.


◆이파리를 흔드는 저녁바람이(윤동주, 백석, 정지용, 김영랑, 한용운, 노천명, 윤곤강, 박용철, 변영로, 노자영, 김명순, 권환, 정지상, 황석우, 로버트 시모어 브리지스, 요사 부손, 미사부로 데이지, 오스가 오쓰지 지음/에드워드 호퍼 그림/저녁달고양이)=에드워드 호퍼는 미국의 화가다. 현대 미국인의 삶과 고독, 상실감을 탁월하게 표현해내 사랑을 받았다. 그의 계산된 표현은 근대미국인의 삶에 대한 그의 시각을 반영한다. 희미하게 음영이 그려진 평면적인 묘사법에 의한 정적(靜寂)이며 고독한 분위기를 담은 건물이 서 있는 모습이나 사람의 자태는 지극히 미국적인 특색을 강하게 보여주고 있다. 그는 미국 생활(주유소, 모텔, 식당, 극장, 철도, 거리 풍경)과 사람들의 일상생활이라는 두 가지를 주제로 삼았으며, 그의 작품들은 산업화와 제1차세계대전, 경제대공황을 겪은 미국의 모습을 잘 나타냈고, 그 때문에 사실주의 화가로 불린다. 1960년대와 1970년대 팝아트, 신사실주의 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평범한 일상을 의미심장한 진술로 표현하여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그의 그림을 유명 시인들의 시와 함께 묶었다.


◆월간 시인동네 6월호(문학의 전당)=시인동네 문학상 특집. 이 상은 2017년에 출간된 시집을 대상으로 한다. 첫 영광을 이원의 다섯 번째 시집 ‘사랑은 탄생하라’가 안았다. 심사위원들은 “우리 시대가 오랫동안 기억해야 할 비극적인 한 장면에 대해 울림 깊게 각인시켰다. 시가 시인의 외부에서 도래한 것임을 실증한” 시집이라고 평가했다.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