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지역대표축제 지원하는 전담조직 생긴다.."글로벌 관광축제 육성"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지역대표축제 지원하는 전담조직 생긴다.."글로벌 관광축제 육성" 김제 지평선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평창 효석문화제, 부산 그랜드세일,금산 인삼축제, 산청세계전통의약엑스포.(사진 위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AD



[아시아경제 최대열 기자] 앞으로 각 지방자치단체가 문화관광축제를 열기 위해선 재단법인 형태의 별도 조직을 갖추는 걸 의무화하도록 관련 규정이 바뀐다. 현재 축제를 지원하는 전담조직이 없어 지역별로 차별화가 안 되고 전문성이 떨어지는 등 내실이 떨어진다는 지적에 따른 조치다. 보령머드축제ㆍ화천산천어축제 등 현재 대표축제로 인정받는 일부 지자체 행사 가운데 하나 이상을 정해 세계적인 축제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도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14일 문화체육관광부 등에 따르면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문화관광축제 제도개선안이 잠정 확정돼 각 지자체, 관련 전문가 의견수렴 과정을 거치고 있다. 이날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세균 의원과 문체부 주최로 열린 토론회에서 공개된 제도개선안을 보면, 현행 문화관광축제 제도를 손봐 각 지자체별로 축제행사 업무를 전담으로 지원할 재단법인 혹은 사단법인 같은 조직을 일정 기간 운영한 후 지정받을 수 있는 방안이 포함됐다.


문화관광축제란 국내외 관광객이 각 지역별 축제를 즐길 수 있는 콘텐츠로 육성하기 위해 1995년 도입한 제도로 지자체 차원에서 정부(문체부)에 신청하면 일정 심사를 거쳐 예산ㆍ홍보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는 무주반딧불축제 등 문화관광축제 41개, 사전단계인 문화관광육성축제 40개 등 총 81개를 선정해 지원하고 있다.

일부 축제는 국내외 방문객이 늘었고 각 행사별 개최시기를 분산하는 등 일정한 성과는 거뒀다. 그러나 행사다마 등급ㆍ순위를 매긴 탓에 지자체별 과도한 경쟁이 일고 평가기준이 제각각이라 예산낭비가 심각하다는 지적도 제기돼 왔다.


특히 행사를 진행할 전담조직 없이 각 지자체마다 담당 공무원을 정해 진행한 탓에 전문성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지난 수년 전부터 지속됐다. 축제에 참석한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이거나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기보다는 행사평가에 집중할 수밖에 없고, 공무원 조직 특성상 보직순환이 잦아 내실을 다지기 어렵다는 얘기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김제시청의 강기수 팀장은 "축제가 민간 위주가 아닌 행정위주로 진행되다보니 축제 담당자가 자주 교체돼 전문성ㆍ연속성이 떨어진다"면서 "축제 전문인력 양성이나 교육과 관련해 로드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문체부는 이르면 내년 초 관련 법령을 개정해 축제지원재단이나 지원기금을 만들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키로 했다. 문체부 관계자는 "문화관광행사로 지정받기 위해선 지자체별 전담조직을 갖춘 후 신청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며 "재단운영 등 세부사항에 대해선 현재 지자체나 전문가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진주남강유등축제ㆍ보령머드축제 등 이미 어느 정도 자리잡은 축제를 세계적 축제로 육성하기 위한 방안도 이번 개선안에 포함됐다. 현재도 이러한 축제들은 대표등급을 일정기간 유지해 올해 글로벌 육성축제로 지정된 상태인데 앞으로는 '대한민국 문화관광축제(가칭)'로 지정, 독일 옥토버페스트ㆍ브라질 리우 카니발 같은 세계적으로 유명한 축제로 육성하는 방안을 지원키로 했다.


현 문화관광축제제도는 일몰제라 일정 기간이 지나면 예산지원이 끊기는데, 문화관광축제를 명예졸업한 축제 가운데 하나 이상을 정해 지원기간을 최대 15년으로 늘리고 평가기준도 개선키로 했다. 이 개선안은 이르면 내년 말께 관련 규정을 개정, 내후년부터 도입할 수 있을 것으로 문체부 측은 내다봤다. 이밖에 현 문화관광축제 가운데 대표ㆍ최우수ㆍ우수ㆍ유망 등 등급을 나누는 방식이 아닌 단일 인증형태로 바꾸는 한편, 평가방식 역시 기존 전문가의 정성평가가 아닌 빅데이터 기반의 정량평가를 기반으로 하되 기간을 1년에서 2년으로 늘리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이는 현 평가방식이 지자체 공무원에게 과도하게 부담이 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최대열 기자 d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