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스파이칩' 한국은 현황 파악.. 미국은 진위 파악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美 스파이칩 파문 우리나라에도 확산
정부, 기업, 국회 모두 현황 파악 나서
미국에서는 진위 여부에 대한 의구심


'스파이칩' 한국은 현황 파악.. 미국은 진위 파악
AD


[아시아경제 황준호 기자] 쌀알 만 한 칩 하나에 세계가 경악에 떨고 있다. 중국 서버 제조업체인 슈퍼마이크로사의 서버에서 발견된 마이크로칩이 그 주인공이다. 중국 정부의 첩보활동에 활용됐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스파이칩’으로 불린다.


진원지인 미국은 물론, 우리나라도 이 업체의 제품을 대량 수입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불안감이 엄습하고 있다. 정부와 기업, 국회가 조사에 한창이지만 현황 파악은 쉽지 않아 보인다. 반면 미국에서는 진위 확인에 나서, 파문이 어디로 번질지 종잡을 수 없는 상황이다.

'스파이칩' 한국은 현황 파악.. 미국은 진위 파악



우리나라 이통 3사는 이 회사 제품이 얼마나 도입됐는지 여부를 조사하고 있다. 하지만 논란 발생 후 수일이 지나도 쉽사리 답을 주지 못하고 있다.


SK텔레콤은 “상용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있어, 논란의 제품은 사용하고 있지 않다”고 16일 밝혔다. 다만 “연구개발 등의 목적으로 부서 자체적으로 이 회사 제품을 쓰고 있는지 여부는 확인 중”이라고 했다. LG유플러스는 상용서비스에 쓰이고 있는지 여부조차 “확인 중”인 상황이다. KT만이 “연구개발(R&D)용으로 의혹이 제기된 회사의 서버 57대를 사용하고 있지만 외부망과는 연결되지 않아 해킹은 이뤄질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달 4일(현지시간) 스파이칩 파문이 처음 일어난 후 이 회사 제품을 쓰고 있다던 애플이나 아마존 등이 “보안에 문제가 없다”며 반박하고 끝낸 것과 달리, 적극적인 움직임이다. 하지만 비용관리를 통해 이윤 확보에 나서야 할 기업이 재고 파악도 못한다는 건 의구심이 남는다.


보안 논란에 민감한 여론이 자사로 쏠릴까 걱정하는 눈치다. 5G 장비를 도입하는데 중국산 통신장비 도입 여부를 타진 중이라는 점이 걸린다. 미국 정부가 중국 정부의 첩보활동을 우려하며 화웨이 장비 도입을 막아놓은 상황에서, ‘스파이칩’ 논란의 확산이 달갑지 않은 것이다.


화웨이도 스파이칩 논란 이후이자, 국정감사 전인 지난 8일 사이버 보안 논란에 대한 입장문을 냈다. “화웨이는 철저한 사이버 보안 제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문제 제기 받은 사안은 한 번도 없었다”는 것이다.


'스파이칩' 한국은 현황 파악.. 미국은 진위 파악



정부도 현황 파악에 초점을 맞췄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는 26일 열리는 종합감사 전까지 이통사와 포털을 조사해 내용을 공유하겠다는 입장이다.


국회도 사태 파악에 나섰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30개 기관을 조사한 결과 현재까지 11개 기관이 이 회사 제품을 사용 중이라고 밝혔다. 제품 수는 731대로 집계했다. 30개 기관 중에는 아직 답을 주지 않은 기관도 있다.


법제사법위 소속 오신환 바른미래당 의원도 관세청 자료를 통해 지난 5년간 578만6719달러(65억원 정도) 규모 제품이 국내에 수입됐다고 밝혔다. 총량은 49.8톤에 달한다. 마더보드 492만달러, 서버 86만 달러 정도 되는 물량이 세관을 거쳐 국내에 들어왔다. 그는 “대량 수입된 것으로 확인된 만큼 정부는 신속하게 사용처를 확인하고 정보유출 등 피해는 없는지 확인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스파이칩' 한국은 현황 파악.. 미국은 진위 파악



반면 미국에서는 진위 확인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비즈니스인사이더는 “보안 업계에서는 블룸버그의 보도가 가짜일 수 있다고 본다”고 보도했다. 키어스천 닐슨 미 국토안보국 장관은 지난 10일 미 상원 청문회에서 “우리는 보도 내용을 근거할만한 어떤 증거도 찾지 못했다”고 했다. 또 블룸버그의 보도에 인용된 보안 전문가 조 피츠패트릭은 해당 기사에 대해 “내가 말한 100%가 확인돼 기사로 나왔다는 것이 놀라웠다”며 “보도가 나기 전 메일을 통해 ‘내가 이 이야기를 들었지만 내가 생각해도 이해가 안되는 내용이다’라고 전했다”고 밝혔다. 이 외에도 포브스는 블룸버그에서 나온 내용이 수년간 미국 기업들이 해당 제품을 쓰고 있음에도 발견해내지 못했는데 갑자기 불거진 것에는 이유가 있을지 모른다는 의구심을 제기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