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규제에 발목잡힌 미래차] 미래차리더, 정부·연구기관 공조 필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5대 新산업 긴급진단 <1>미래차

[아시아경제 우수연 기자] 우리나라 기업들도 글로벌 기업들과 경쟁하기 위해 자율주행, 친환경 등 미래차 기술 개발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빠른 개발과 상용화를 통해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업계 주도에서 벗어나 정부와 기업, 연구기관 사이에 협업체계 구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현대차는 지난 2월 평창에서 수소차 넥쏘의 자율주행 4단계 운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8월에는 대형트레일러 엑시언트의 3단계 자율주행 운행에 성공하기도했다. 트레일러가 연결된 대형트럭이 고속도로에서 자율주행 운행을 시연한 것은 국내 최초다. 현대차는 2021년까지 자율주행 4단계 수준의 도심형 자율주행차를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있다.

미국자동차공학회(SAE) 기준 자율주행 기술은 총 5단계로 분류된다. 현재 상용화 수준인 3단계는 조건부 자율주행이 가능한 중간단계다. 계획된 경로를 따라가고 장애물을 피하지만 특정 위험 상황에서는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다. 4단계는 운전자가 운전에 전혀 개입하지 않고 시스템이 정해진 조건 내에서 차량의 속도와 방향을 통제하는 수준이다.


[규제에 발목잡힌 미래차] 미래차리더, 정부·연구기관 공조 필요 현대차 자율주행 대형트럭/ 사진=현대자동차
AD


현대차그룹의 기술을 집약하고 있는 현대모비스도 자율주행 고해상 단거리 레이더 독자개발에 성공했다. 모비스는 개발한 레이더를 2020년부터 국내 완성차에 공급할 예정이다. 모비스가 독자기술 개발에 성공하면서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에 장착되는 부품의 단가도 기존보다 낮출 수 있게 됐다.


자동차 부품사 만도도 모든 자율주행차에 사용되는 전자식 브레이크에 장착되는 핵심 모듈 개발을 완료했다. 해당 모듈에 자율주행 구현에 필요한 자동긴급제동장치, 차간 거리유지시스템 등 40여가지의 편의사항을 부가기능으로 장착했다는 점이 특징이다.


자율주행 전장사업에 뛰어드는건 비단 완성차 업체나 부품사 뿐만이 아니다. IT업계와 전자업계에서도 자율주행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로 부각되고있다. 최근 네이버는 자율주행 차량 분야에 적용되는 'HD맵 솔루션' 개발중이다. 고정밀 항공사진과 모바일 매핑 시스템 차량으로 수집한 데이터를 결합해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고화질의 HD맵을 구축하는 기술을 만든다는 목표다.


전자업계에서도 자율주행차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2025년까지 5단계 수준의 자율주행 플랫폼을 만든다는 목표를 세우고, 지난 2016년 인수한 전장 전문기업 하만과 함께 커넥티드카 핵심기술 개발에 집중하고있다. 삼성은 국내 기업 최초로 실리콘밸리가 있는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자율주행 시험운행 면허를 취득하기도했다.


미래차의 또다른 핵심 기술인 '친환경차'도 새로운 도전 과제다. 현대기아차는 하이브리드를 비롯해 전기차, 수소차 등 현재 13종인 친환경 모델을 2025년까지 38개 차종으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특히 현대차가 심혈을 기울이는 분야는 수소를 사용하는 수소연료전지차(FCEV)다. 현대차는 지난 2013년 세계 최초로 수소차(투싼 ix35) 양산에 성공했다. 가격과 인프라 부족 등으로 보급엔 성공하지 못했지만 성능을 두 배 이상 업그레이드 시킨 2세대 수소차 넥쏘를 양산하며 시장 선점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수소전기 대형트럭 1000대를 향후 5년간 유럽에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면서 유럽 친환경 상용차 시장에도 진출했다. 현대차는 대형 트레일러 엑시언트를 기반으로 유럽 현지 상황에 맞춰 개조한 수소전기 대형트럭을 개발중이다.


한편, 올해 국내시장 누적 판매 2만대를 넘기며 상용화에 성공한 전기차는 친환경차 시장의 대세로 자리잡았다. 가장 많이 팔린 차종은 현대 아이오닉 일렉트릭, 현대 코나 일렉트릭, 한국GM 쉐보레 볼트EV, 기아 니로EV, 기아 쏘울 EV 등이다. 현대차는 코나 일렉트릭 등 1회 충전 주행거리 300~400km가 가능한 주요 차종을 앞세워 전기차 시장을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주행거리 500km 이상의 고성능 장거리차를 2021년까지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제네시스 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까지 미래차 기술은 완성차 업체가 중심이 돼 이끌고 있다"며 "하지만, 미래차 기술은 단순 차량 기술 뿐 아니라 IT등과 접목되고, 규제와도 직결되기 때문에 정부, 연구기관 등과의 협력체계가 구축돼고, 유기적으로 작동해야 글로벌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우수연 기자 yesi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