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면초가 유통街③]사드보복 8개월 째…벼랑 끝 면세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6초

줄줄이 적자 행진…공항 임대료 못 내 특허 반납까지
지방 면세점은 고사 직전…하루 매출 50만원 미만인 곳도

[사면초가 유통街③]사드보복 8개월 째…벼랑 끝 면세점
AD


[아시아경제 김현정 기자] 중국 정부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보복이 장기화되면서 면세 업계가 벼랑 끝에 섰다. 일부 업체들은 특허를 조기 반납하며 적자 축소를 시도하고 있으며, 대기업 계열 사업자들도 면세점 오픈일을 연기하며 몸을 낮춘 상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한화갤러리아면세점 제주공항점과 경기 평택항 하나면세점은 사드 보복으로 인한 중국인관광객(요우커) 급감의 타격을 받아 매장 폐점을 결정했다. 매출이 곤두박질치고 적자 규모가 눈덩이 처럼 불어난 일부 중소 지방 면세점들 역시 더 이상 버티기 어렵다고 판단, 특허 조기 반납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47억원의 매출을 올렸던 하나면세점 올해(1~7월) 65억원의 매출을 냈지만 임대료 등을 버티지 못하고 두 손을 들었다. 사드 보복 이후 중국을 오가는 5개 항로 중 1개 항로가 휴항하면서 하나면세점 측은 임차료 인하를 요구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간 요우커 매출에 기대어 영업을 해오던 한화갤러리아면세점 제주공항점 역시 올 연말까지 영업한 뒤 신규 사업자에게 자리를 넘겨줄 예정이다.

[사면초가 유통街③]사드보복 8개월 째…벼랑 끝 면세점 (아시아경제 DB)

요우커 증가세에 기대를 품고 면세 시장에 도전했던 일부 중소ㆍ중견 면세점들이 올해 일평균 50만원에도 못미치는 매출을 올렸다. 사드 배치를 둘러싼 중국과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데다가, 이미 국내 곳곳에 우후죽순 생겨난 면세점 탓에 이들이 경쟁력을 갖출 준비기간이 마련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윤호중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1~7월) 매출이 50억원에도 미치지 못하는 중소ㆍ중견면세점은 14곳에 달한다. 이 가운데 충북 청주에 위치한 중원면세점, 경남 창원의 대동면세점의 경우 7개월 간의 영업매출이 1억원을 넘기지 못했다. 강원도개발공사가 운영하는 알펜시아 면세점은 1억원대 매출을 올렸다. 이들 업체의 하루 평균 매출은 50만원도 채 되지 않았던 셈이다.


이밖에도 앙코르면세점(3억원), 청주국제면세점(5억원), 국민산업 무안공항면세점(11억원), 시티면세점(15억원), 신우면세점(27억원) 등은 지난 7개월 간 면세품을 30억원 어치도 팔지 못했다. 면세점에서 유명 브랜드의 시계, 화장품, 잡화 등 상대적으로 고가 제품을 취급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부진한 실적이다.

[사면초가 유통街③]사드보복 8개월 째…벼랑 끝 면세점


상황이 이렇자 지방 면세점 운영을 관할하는 한국공항공사 측은 기존 최소보장금액을 기준으로 사업자를 선정하던 것에서 기본임대료와 함께 매출과 연동해 임대료를 내는 최소영업요율(20.4%) 방식으로 바꿨다. 중국 정부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ㆍ사드) 보복으로 중국인관광객의 발길이 끊겨 영업 환경이 크게 악화된 것을 감안한 조치다.


이 방식이 적용되면 매출 규모에 따라 임대료가 달라지기 때문에 영업환경이 급격히 악화되거나 반대로 좋아질 경우 이 같은 상황에 맞게 임대료가 자동적으로 증감하게 된다. 공사는 판매 실적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면세점, 편의점, 커피전문점 등 공항내 60% 정도의 상업시설에 '최고영업요율입찰제'를 적용하고, 실시간 파악이 힘든 자판기 등 상업시설에 대해서는 종전 처럼 최고가입찰제(고정임대료) 방식을 적용하기로 했다.


관세청은 특허심사위원회를 통해 중소중견면세점 특허장소 이전을 허용하는 방안까지 내놨다. 경남 창원 대동면세점은 기초자치단체 내인 의창구에서 성산구로 매장을 옮길 예정이다.


대기업 면세점들 역시 상황은 다르지 않다. 특히 사드 부지를 제공한 것으로 알려진 롯데의 경우 타격이 가장 컸다. 롯데면세점은 올 2분기에만 298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2003년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사스) 사태 이후 14년만이다. 신세계면세점은 2분기 40억원의 영업손실을 냈고 갤러리아면세점과 두산면세점도 각각 150억원, 64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업계 관계자는 "지난 3월 중국 정부가 한국 단체관광 금지를 비롯한 '금한령'을 비공식적으로 시행했지만 우리 정부는 제대로 된 항의나 시정 요구도 하지 않았다"면서 "전략을 바꿔 영업을 하는 것은 업체들의 몫이지만 단기간에 영업의 대상과 성격을 완전히 바꾸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라고 토로했다.




김현정 기자 alpha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