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살며 생각하며]오르는 자의 덕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6초

 
  

[살며 생각하며]오르는 자의 덕목 정용철 서강대 교육대학원 교수
AD

서강대학교에는 특별한 교양체육수업이 있다. '서사적 체육: 스포츠와 스토리텔링'이라는 긴 과목명을 가진 수업인데 교양체육과 글쓰기 수업을 결합한 일종의 융합과목이다. 일테면,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산책(Walking)'이나 사회학자 정수복의 '빠리를 생각한다? 도시 걷기의 인문학'과 같은 책을 발췌해 읽고 평생 걷기를 통해 철학과 문학을 했던 프리드리히 니체, 아르튀르 랭보, 마르셀 프루스트, 발터 벤야민에 대한 삶을 되짚어 본다. 곧바로 강의실 밖으로 나가 방랑자(vagabond)처럼 걸을 것인가 순례자(pilgrimage)처럼 걸을 것인가를 결정한 후 삶이 접힌 공간인 학교근처 골목길로 흩어져 실제로 걷고 이에 대해 글을 쓰는 것이다.


지난 주 수업 시간엔 암벽등반을 해 보았다. 실내 암장에서 인공으로 만들어 놓은 홀드를 잡고 매달려 보는 체험이다. 처음 배우는 친구들이 대부분이라 높이 올라가기 보다는 단단하게 잘 매달리는 데 집중했다. 한 시간 정도 실습을 마치고 둘러 앉아 학생들은 암벽등반을 통해 만난 깨달음을 풀어 놓는다.

[살며 생각하며]오르는 자의 덕목

가장 많이 나온 반응은 손가락과 발가락 끝을 이용해 자신의 몸을 지탱하려고 할 때 느꼈던 중력의 무게다. 평소 생활을 통해 망가진 몸으로 그저 중력에 저항해 버티는 게 그렇게 힘든 일인 줄 몰랐다는 것이다. 정직한 실존의 무게를 손가락과 발가락으로 느껴보는 경험은 그들이 처한 이상과 현실의 괴리를 명백하게 드러낸다. 부들부들 떨면서 중력에 저항하는 경험을 하고 난 학생들은 그저 매달려 있는 행위(혹은 우리 사회를 견디며 살아가기)가 만만치 않음을 알게 된다.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 손과 발의 모양이 역삼각형이나 삼각형 모양을 취해야 한다는 가르침은 또 다른 차원의 가르침을 낳는다. 다음 번 홀드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삼각형의 안정을 깨뜨려야 한다는 점. 그 손, 혹은 그 발을 떼는 순간 안정은 깨지고 위험의 순간이 다가온다. 추락에 대한 위험을 받아들일 수 있는 용기가 있어야 다음 번 홀드로 몸을 움직일 수 있다. 내려온 학생들은 스스로에게 묻는다. 과연 나는 그 위험에 맞설 용기를 가지고 있는가?

매일 밤 취직을 위해 자소서(자소설이라고 불리는!)를 쓰는 마지막 학기 학생은 암장에 매달려 위로 한 발짝씩 오르는 경험에서 문득 취직이라는 목표를 향해 안간힘을 쓰는 자기 자신을 발견한다. 다들 위를 향해 오르고 있기 때문에 영문도 모른 채 남들처럼 오르고 있는데 과연 저 꼭대기에는 무엇이 있을까 처음으로 생각해 보았단다. 나는 어디까지 오를 것인가? 너무 높이 오르면 떨어질 때 치명적일 텐데? 정말 괜찮을까? 난생처음 자신을 돌아보고 스스로에게 묻고 답했다.


암벽등반 체험을 통해 얻은 가장 큰 소득은 바로 시선(perspective)에 대한 감각이다. 땅을 딛고 위를 쳐다볼 때, 대부분 아무런 감흥을 느끼지 못한다. 그러나 암벽에 붙어 한 발씩 오를 때 펼쳐지는 세계는 매우 복잡한 감정을 자아낸다. 이렇게 높았나? 땅에서 벗어난 시간이 길어질수록 두려움이 커지기도 하고 반대로 세상보다 위에 있다는 우월감에 뿌듯해지기도 한다. 결국 내가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세상이 달리 보인다는 명확한 삶의 원리를 확인한다. 위만 보고 오르기만 하는 자는 자신을 위험하게 만든다. 너무 많이 오른 후에 아래를 내려다보면 몸이 아찔함으로 그 위험을 알려준다.


엊그제 두 번째 대선주자토론회를 보면서 암벽등반을 오르는 다섯 명의 후보를 상상해 보았다. 평소에 단련이 되어있는 후보는 가벼운 몸과 발달된 근육을 사용해 스윽 쓱 자기 힘으로 잘 올라간다. 반면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았거나 준비가 덜 된 후보는 팔 다리의 힘도 부치고 보는 사람도 조마조마하다. 맨 밑바닥부터 오르느라 중간 지점에서 벌써 헐떡이는 이도 있는 반면 출발점 자체가 다른 사람보다 위였던 후보도 있다. 같이 올라가자고 위에 있는 후보에게 손을 내밀기도 하고(대부분 매몰차게 그 손을 뿌리친다!) 먼저 올라간 이의 발목을 채 떨어뜨리려는 비열함도 엿보인다. 자신의 위치가 시선을 결정하듯 앞선 후보가 보는 세상은 그를 따라 잡으려는 후보가 보는 세상과는 다를 것이다.


5월 9일 정상에 다다른 한 후보와 나머지 후보들의 운명은 극명하게 갈릴 것이다. 그리고 그 선택에 의해 대한민국의 향후 5년의 운명도 갈릴 것이다. 부디 오르는 자의 덕목을 제대로 갖춘 자가 정상에 서시길!


정용철 서강대학교 교수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