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혐한 부추기는 日…방탄소년단부터 조선업까지 부정적 보도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혐한 부추기는 日…방탄소년단부터 조선업까지 부정적 보도 NHK방송 캡쳐
AD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우리나라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이후 일본 내에서 K팝 가수에서부터 조선업계까지 한국에 대한 부정적 보도가 잇따르고 있다. 자칫 과도한 혐한(嫌韓) 여론을 조성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대법원 판결 이후 격한 어조로 우리나라를 헐뜯은 아베 신조 내각의 지지율은 상승세를 나타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3일자 사설을 통해 한국정부의 조선업 지원이 문제가 많다고 주장했다. 이 신문은 앞서 일본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 제소를 위한 양자협의를 요청한 사실을 언급하며 한국 정부가 개별 기업에 가세해 시장경쟁의 공정성이 훼손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이번 WTO 제소가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 결과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표한 것이라는 국내외 평가에 대해 '우연의 일치'라고 강조했다.


요미우리신문은 연일 세계적인 그룹인 방탄소년단(BTS)에 대한 부정적인 뉴스를 온라인 주요 기사로 다루고 있다. 이날 오전에는 메인 페이지 첫번째 기사로 미국 유대인 인권단체들이 BTS에 대해 과거 나치 친위대(SS) 휘장이 장식된 모자를 썼다며 사과를 요구했다는 내용의 뉴스를 내걸었다. 세계적인 그룹이라고는 하나 자국 연예인도, 자국 기사도 아닌 단신을 첫 기사로 띄운 것은 BTS에 대한 부정적 보도를 확산시키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온다.

같은 날 지면에서도 요미우리신문은 한국의 K팝 아이돌과 관련해 일본의 여자 중고등학생들로부터 트위터 등을 통해 상품, 콘서트 티켓 명목으로 돈을 가로채는 사기피해가 잇따르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 신문은 "한국의 사기조직이 관여한 것으로 보인다"고도 강조했다. 이어 "트와이스, BTS 등 K팝 아이돌은 일본에서도 여자 중고생을 중심으로 인기를 얻어 '제3차 한류 붐'이라고 불린다"면서도 "한국 경찰청에 따르면 BTS가 8월에 연 서울 콘서트에서 사기를 당했다는 인터넷 신고가 8월에만 약 110건에 달했다"고 언급했다.


NHK방송 역시 나치문양 모자와 관련해 미국 유대인 인권단체의 주장을 보도하며 "BTS는 미국 음악차트에서 한국 가수로는 처음으로 1위를 차지하는 등 세계적으로 활약하고 있다"면서도 "이번 일련의 소동은 인터넷상 등에서도 물의를 빚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 방송은 "멤버 1명이 원폭 투하에 의한 버섯구름이 그려진 티셔츠를 입었던 것으로 나타나 지난주 일본의 TV 프로그램 출연이 보류된 상황"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야후 재팬 메인에는 BTS의 뮤직스테이션 출연 중단 여파가 여전히 진정될 기미가 없다며 BTS의 과거 해외활동 논란을 엮은 기사가 실리기도 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우리나라 대법원의 강제징용 배상 판결 직후 얼어붙은 양국관계와 무관하지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본 정부와 언론들은 판결 이후 연일 한국에 대한 비판 기조를 이어오고 있다. 고노 다로 외무상의 경우 '폭거', '한국 정부와 일하기 힘들다' 등 다소 과격한 발언까지 쏟아내며 국제 여론전에까지 나선 상태다. 이 같은 한국 때리기는 아베 내각의 지지율을 소폭 끌어올리기도 했다. NHK에 따르면 내각 지지율은 한달 전보다 4%포인트 상승한 46%로 집계됐다.


하지만 한 국가의 사법부 판결을 두고 단순한 불만이 아닌, 정부차원의 외교적 분쟁으로 몰아가는 것은 매우 이례적이고 민주주의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잇따른다. 앞서 이낙연 국무총리는 지난 7일 입장문을 통해 "일본 정부지도자들이 과격한 발언을 계속하는 데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 타당하지도 현명하지도 못하다"며 "사법부 판단에 정부가 개입하지 않는 게 민주주의 근간"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일본 정부측은 한일간 청구권 문제가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에 따라 해결됐고, 한국이 국제사회에서 약속을 지키고 있지 않다고 주장하고 있다. 반면 대법원은 배상청구권은 청구권 협정 대상에 포함되지 않으며, 가해자인 신일철주금이 소멸시효 완성을 주장하는 것 역시 신의성실 원칙을 위반한 권리남용으로 결론 내린 상태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이 기사와 함께 보면 좋은 뉴스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