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심장 조이는 '대동맥판 협착'…대부분 50대 이상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70대 이상 66.8%, 60대 21.0%, 50대 8.4%

심장 조이는 '대동맥판 협착'…대부분 50대 이상 ▲2016년 ‘대동맥판 협착’ 인구 10만 명 당 진료인원.[ 자료제공=국민건강보험공단]
AD


[아시아경제 정종오 기자] 심장을 조이는 ‘대동맥판 협착’ 질환은 대부분 50대 이상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16년 진료환자를 보면 70대 이상은 7136명(66.8%)을 차지했다. 이어 60대 2240명(21.0%), 50대 892명(8.4%) 순으로 나타났다.2016년 총 진료 환자 1만681명 중 남성은 5033명, 여성은 5648명이었다.

대동맥판 협착이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의 문 역할을 하는 ‘대동맥판막’이 좁아지는 질환을 말한다. 판막이 좁아져서 잘 열리지 않으면 심장에서 대동맥으로 피를 내보내기 힘들다. 심장은 피를 온몸으로 내보내기 위해 더 많은 일을 하게 되며 결국 심장의 근육은 더 두꺼워진다. 그럼에도 나가는 피의 양은 제한돼 호흡 곤란, 흉통과 실신 등의 증상이 발생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직무대리 김필권)은 2011~2016년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동맥판 협착 질환으로 진료를 받은 진료 인원은 2011년 5838명에서 2016년 1만681명으로 연평균 12.8%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남성은 2011년 2794명에서 2016년 5033명으로 연평균 12.5% 늘었고 여성은 2011년 3044명에서 2016년 5648명으로 연평균 13.2% 증가했다.


신상훈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교수는 50대 이상 환자가 많은 이유에 대해 “대동맥판 협착의 가장 흔한 원인은 연령증가에 따른 판막의 석회화에 있다“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진행되는 질환이기 때문에 50대 이하에서는 잘 나타나지 않는 반면 연령이 증가할 수록 대동맥판 협착 질환이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대동맥판 협착’을 치료하지 않고 방치했을 때는 심각한 심장 합병증으로 진행돼 호흡곤란, 폐부종 등 심부전 증상과 반복적 실신과 급사의 위험이 있다.


한편 ‘대동맥판 협착’ 질환의 건강보험 진료비는 2011년 160억 원에서 2016년 447억 원으로 연평균 22.8%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정종오 기자 ikokid@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