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남한에 택배차 있으면 북한엔 ‘서비차’ 있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서비스'와 '車'의 합성어로 개인 택배차량…“주민들 필요에 의해 자생적으로 생긴 경제형태”

남한에 택배차 있으면 북한엔 ‘서비차’ 있다
AD


[아시아경제 이진수 선임기자] 북한 주민들의 휴대전화 사용이 보편화하고 택배 차량인 '서비차' 운행이 활성화하면서 북한에 물류혁명이 일어나고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의 자유아시아방송(RFA)은 워싱턴 소재 한미관계 싱크탱크인 한미경제연구소(KEI)의 김연호 객원연구원을 인용해 북한에서 휴대전화와 서비차가 확산하면서 새로운 배송 시스템이 구축되고 있다고 19일(현지시간) 소개했다.


서비차란 '서비스(service)'와 '차(車)'의 합성어로 판매자와 소비자를 연결해주는 개인 트럭ㆍ미니밴ㆍ택시 등이다.


김 연구원은 이날 KEI의 전문가 토론회에서 북한에 김정은 체제가 들어선 이래 휴대전화를 갖고 있는 현지 주민이 전체 인구 가운데 5분의 1에 해당하는 500만명으로 추산된다고 말했다.


그는 개인 택배 차량인 서비차가 일상화하면서 소비자에게 직접 물건을 판매하는 '달리기 장사꾼'이 점차 사라지고 서비차로 배송하는 상인이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기존 물품 배송은 철도에 의존해왔다. 그러나 속도가 느린데다 잦은 고장과 연료 부족으로 제대로 운행되지 않아 주민들은 서비차 같은 개인 배송 차량을 선호한다는 게 김 연구원의 설명이다.


서비차 운전기사들은 휴대전화로 판매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실시간 연락하며 약속된 시간과 장소에 안전하게 물건을 배달한다.


김 연구원은 "UPS나 페덱스 같은 택배 서비스가 없는 북한에서 트럭이나 버스 운전기사들이 배송을 담당한다"며 "이들에게 필요한 것은 판매자와 소비자의 휴대전화 번호"라고 지적했다.


이들의 서비스로 상인들은 판매자나 소비자를 직접 방문할 필요 없이 집에서 장사할 수 있게 됐다.


김 연구원은 "휴대전화로 모든 판매자의 물건 가격 정보가 실시간 공유돼 판매자간 경쟁에 의해 자연스레 시장가격이 형성되는 현상도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이제 '바가지' 가격으로는 장사하기 어려워졌다는 뜻이다.


그러나 서비차 운행은 불법이다. 김 연구원은 "서비차 운전기사가 뇌물 없이 검문소를 통과하기란 불가능하다"며 "운전기사는 검문소에 주기적으로 뇌물을 줘야 하고 요구가 있으면 추가 상납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북한 전문가인 미국 조지메이슨대학의 조지 허친슨 연구원은 서비차를 두고 "주민들의 필요에 의해 자생적으로 생긴 경제형태"라며 "북한이 점차 '자유주의 시장경제화'하는 한 측면을 보여준다"고 평했다.






이진수 선임기자 commu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