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굿모닝 증시]악재 겹친 韓 증시…"반등 보다는 하방요인 우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굿모닝 증시]악재 겹친 韓 증시…"반등 보다는 하방요인 우세"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조호윤 기자]전 거래일인 10일 코스피(KOSPI), 코스닥 지수가 연저점을 기록하면서 자본시장 참가자들의 표정에 먹구름이 드리워졌다. 지수를 끌어내린 요인으로는 미국 금리 상승, 미중 무역분쟁 격화, IMF의 한국 경제성장률 하향 조정(3%→2.8%), 북미 정상회담 지연 등이 꼽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북미 정상회담은) 미국의 중간선거(11월6일) 이후가 될 것"이라고 밝혀, 북미 비핵화 협상이 장기전으로 펼쳐질 것으로 관측되면서 연내 종전 선언 가능성도 불투명해졌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불확실성이 해소되지 않는 한 연내 증시 반등의 기회가 찾아올 가능성이 크지 않다고 전망하면서, 신중한 투자를 요구하고 있다.

한편 밤 사이 뉴욕증시의 주요 지수도 폭락했다. 10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3.15% 폭락한 2만5598.74,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3.29% 급락한 2785.68, 나스닥 지수는 4.08% 폭락한 7422.05에 장을 마쳤다.


◆김효진 SK증권 연구원=한국 증시가 재차 하락했다. 최근 연관성이 높은 흐름을 보였던 상해, 홍콩 증시 등이 소폭이나마 상승한 것을 감안하면 한국 증시의 상대적 부진은 더욱 두드러진다.

투자심리가 냉각된 가운데, IMF는 세계경제전망을 통해 한국 경제에 대한 눈높이를 한 단계 하향조정했다. IMF는 반기에 한 번 경제전망을 내놓는데, 이번 IMF 보고서가 더욱 이례적으로 느껴지는 이유는 서문에 한국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선진국 중 유럽, 한국, 영국의 성장 전망을 하향 조정한다는 짧은 문장에 불과하지만 그만큼 한국 경제에 대한 시각이 어두워졌음을 반영하는 부분이다. 한국 경제 성장률은 올해 3%에서 2.8%로, 내년도 경제 성장률은 2.9%에서 2.6%로 하향 조정됐다.


하방 요인으로는 미국 금리 인상과 신흥국 불안, 중간 선거를 앞둔 노이즈 등이 이어질 것이다. 국내에서 증시의 반등 요인이 나오기는 요원한 가운데, 미국 금리 안정, 중간 선거 이후 미-중 관계 개선 가능성, 북-미 2차 정상회담 등이 발생 가능한 대외 리스크 해소 요인들이다. 그럼에도 반등 모멘텀보다는 하방 요인이 우세한 흐름이 당분간 이어질 것을 예상한다.


◆이은택 KB증권 연구원=과거 사례를 기반으로 보면, 원달러 1140원 부근에서 코스피는 PBR 0.88배 (약 2215pt) 부근에서 바닥이 형성됐다. 다만 여전히 원달러 환율이 안정되지 않아 바닥 수준이 유동적이며, 바닥을 잡더라도 반등의 재료가 부족하다는 사실이 증시를 억누르고 있다.


10월 중순에 있는 몇 가지 이벤트가 단서를 제공한다. 오는 11일에는 미국물가지표(CPI)가 발표되며, 18일에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의사록이 발표된다. 최근 미국 금리 급등세의 진정 여부에 영향을 줄 이벤트다. 15일에는 미국 환율보고서가 발표될 예정이다.


KB증권은 중국이 심층분석대상국에 선정될 가능성을 높게 보는데, 다만 예상과 달리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된다면 단기적으로 무역전쟁 확산 우려가 커질 수 있다. 월말에는 미국과 일본/EU 등의 무역협상 관련 소식이 들려올 것이다. 관련 보도를 종합하자면,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과 미국의 무역협상은 연내 체결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조병현 유안타증권 연구원=한국 증시를 포함한 글로벌 증시, 특히 신흥국 증시 전반이 부진한 흐름이다. 표면적으로 부정적으로 받아들여 질 수 있는 소재들이 전방위적으로 등장하고 있다. 수요보다 공급 이슈에 의해 움직이며 부담을 주고 있는 유가, 직전 고점을 돌파하고 상승세를 이어 가고 있는 미국채 금리 그리고 이와 함께 상승세를 보이는 달러 인덱스 등 부정적인 심리를 형성시킬 수 있는 소재들이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다.


다만 리스크 지표의 수준 자체는 그리 극단적인 영역이 아니라는 점이다. 달러인덱스의 경우 최근 상승하는 흐름을 보인 것이 사실이지만, 95포인트 내외로 2016년이나 2017년 레벨에 비해 절대적으로 높다고 보기 어렵다. 신흥국 금융 시장의 리스크 지표로 볼 수 있는 신흥국채권지수(EMBI) 스프레드의 경우도 연말, 연초에 비해 낮은 레벨이다. 이 같은 상황을 지표들의 부진 이전에 심리적인 위축을 증시가 먼저 반영한 것이라고 속 편하게 해석하기는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판단된다. 리스크 지표들이 극단적인 영역까지 위치해 있었다면 오히려 역발상 측면에서 저점 타진 언급을 해 볼 수 있겠지만, 현재는 아직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여지가 남아 있다는 측면에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해 보인다.




조호윤 기자 hodo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