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통계로 읽는 역사]전 세계 고인돌의 40%가 밀집한 한반도...선사시대 인구강국?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통계로 읽는 역사]전 세계 고인돌의 40%가 밀집한 한반도...선사시대 인구강국? 전남 화순의 고인돌 공원 모습. 한반도 일대에는 전세계 고인돌의 약 40%에 해당하는 3만기에 이르는 엄청난 양의 고인돌이 남아있어 세계 고고학사의 미스터리 중 하나로 알려져있다.(사진=아시아경제DB)
AD



[아시아경제 이현우 기자]흔히 선사시대 유적으로 떠올리는 고인돌은 우리나라에서 꽤 흔하게 볼 수 있는 유적이다보니 다른 나라에도 많이 남아있을 것 같지만, 단위면적당 고인돌이 가장 많은 나라는 한국이다. 한반도 일대에는 약 3만기의 고인돌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전 세계 고인돌 숫자의 약 40% 이상을 차지한다. 개중 전라남도에 있는 것만 2만여기에 달한다. 그나마도 도시화, 산업화에 밀려 엄청난 숫자가 파괴된 후에 남은 것이니, 한국은 '고인돌의 나라'라 해도 될 정도로 엄청난 숫자의 고인돌이 있었던 셈이다.

이를 두고 유사역사학 쪽에서는 한국이 세계 문화의 발원지인 증거라고 하거나, 선사시대에 이미 10억명에 가까운 한민족이 전 세계에 퍼져살았다거나 등등의 주장을 펼치곤 한다. 한국의 고인돌은 보통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 일대에 많이 조성됐으며, 주로 지역 군장의 세력권을 상징한다 알려졌기 때문에 '선사시대 한반도 인구대국론'이 출현하게 된 계기가 됐다. 작은 고인돌도 보통 100~200명, 큰 것은 800~1000명의 장정이 필요하다고 알려진만큼, 3만기의 고인돌을 만들 정도의 나라라면 선사시대에 이미 엄청난 인구가 있었을 것이란 주장이다. 1톤 가량 무게의 돌을 옮기는데 10명의 성인남자가 필요하다고 보통 계산한다면, 50~80톤 규모의 고인돌을 덮개 돌을 올리려면 500~800명이 필요하다는 이야기가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고인돌 통계 수치는 또 지리학, 지구과학 쪽과 결합되면서 또 다른 판타지를 만들어내게 된다. 서해 앞바다가 마지막 빙하기인 1만2000년전까지 바다가 아니라 육지였다는 사실과 결합되면서 서해 바다에 엄청난 초고대문명의 유적들이 잠들어있다는 것. 서해바다는 아직도 평균수심이 44미터 정도에 불과할 정도로 얕고, 1만년 전까지는 수심이 사람 발목 정도에 불과했었다 알려져있기 때문에 서해 중앙부에 있던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강인 '대한강' 일대에 원래 한국의 고대 문명이 있었을 것이란 주장들도 나오게 됐다. 이래저래 고인돌이 많이 남을 수밖에 없었다는 것.

[통계로 읽는 역사]전 세계 고인돌의 40%가 밀집한 한반도...선사시대 인구강국? 보통 고인돌은 돌을 옮길 수백명의 장정들을 동원할 수 있는 지역 군장들의 권력의 상징물로 알려져있었다. 강화 고인돌 밀고당기기 체험 모습(사진=문화체육관광부)



실제 한반도의 인구가 그렇게 많았을지 여부는 미지수다. 우리나라는 고려시대 말까지도 중앙집권화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했고, 인구통계라는게 별다르게 전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실제 인구가 얼마나 됐는지 불분명하기 때문이다. 다만 역사학계에서는 고구려, 신라, 백제의 삼국이 출현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는 기원전 1세기경 만주와 한반도 전체 인구가 약 100만을 넘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고, 우리나라 인구가 1000만을 처음 돌파한 것은 조선시대인 1500년경으로 추정된다. 일제강점기가 시작된 1910년에 인구는 1800만~2000만명 사이로 집계하고 있었기 때문에 선사시대 인구도 그렇게 많지는 않았을 것으로 추정 중이다.


그러다보니 최근에는 고인돌 제작과정에 대한 현대인들의 오해가 만든 것이 아니냐는 설들이 등장했다. 고인돌이 생각보다 그렇게 만들기 어렵지 않았다는 것. 고인돌 자체가 놓인 위치들이 과거 비탈이었던 곳들인데 풍화작용로 고인돌만 남고 땅이 평지가 되다보니, 수백명이 필요하다는 엉뚱한 상상이 등장했다는 반론들도 있다. 그렇게 따지면 아무리 무거운 고인돌도 부족민 10여명이면 뚝딱 만들 수 있다는 결론이다.


하지만 설사 그렇다고 해도 왜 유독 한반도에 이렇게 고인돌이 많은지는 세계 고고학계의 미스터리로 여전히 남아있다. 이스터섬의 모아이 석상 등 폴리네시아 일대의 거석 문화권과 실제 연관성이 있는지, 영향을 받았다고 해도 왜 이렇게 많이 남아있는지는 아직 풀리지 않는 숙제로 남아있다. 이 거대한 돌들이 대체 어떤 사연을 숨기고 있는 것인지는 앞으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현우 기자 knos8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