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산운전체험] 도로·인구·지역 삼박자가 빚어낸 ‘운전 험지’ 괴담의 실체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2분
뉴스듣기 글자크기

산 많고 좁은 평지 지형의 부산, 계획도시 아닌 자연 발생 도시라 비정형 도로구조에 난코스 속출

[부산운전체험] 도로·인구·지역 삼박자가 빚어낸 ‘운전 험지’ 괴담의 실체는? 부산 운전이 어렵다는 오해와 괴담을 직접 확인하기 위해 운전 경력 1년 차 생초보가 직접 운전대를 잡고 괴담의 발원지 '산복도로'를 찾았다.
AD



[아시아경제 김희윤 기자, 최종화 기자] 대한민국 제2 도시 부산, 전쟁 중엔 임시 수도였고 여전히 인구 350만 명이 생활하는 대도시답게 다양한 문화와 풍경이 존재하지만, 부산을 둘러싼 유독 악명 높은 괴담이 떠돌았으니 바로 ‘운전이 어렵다’는 풍문이다.


한 네티즌의 유명한 ‘부산 운전 체험기’를 비롯해 이니셜D를 연상케 하는 곡선 구간을 거침없이 드리프트 하는 버스 탑승기에 한밤중 택시기사님과 함께한 죽음의 쾌속 질주 후일담까지 보태면, 저간에 널리 박힌 부산 ‘싸나이’에 대한 선입견과 더불어 한 편의 그럴싸한 운전 괴담이 완성된다. 그래서 직접 면허 취득 1년 차인 필자가 운전대를 잡고 뛰어들었다. 경력 30년 베테랑 택시기사에게 추천받은 최고의 운전 난코스를 찾아가 악명을 직접 확인해보았다.

[부산운전체험] 도로·인구·지역 삼박자가 빚어낸 ‘운전 험지’ 괴담의 실체는? 깜빡이 없이 거침없이 '들이대'는 차량은 부산 도로에서 심심찮게 목격할 수 있다.



깜빡이는 마음과 눈치로 읽어라, 좁은 도로 폭은 덤


부산 원도심 속 과거와 현재의 풍경이 공존하는 공간이 있다. 바로 ‘산복도로’가 그 주인공. 부산시가 예산 150억 원을 들여 야심 차게 추진한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을 통해 관광지로의 탈바꿈을 꾀하고 있지만, 지난해 11월 이곳 옥상 주차장에서 추락한 택시운전자의 주차사고는 비좁은 도로와 심각한 주차난을 보여준 단적인 사례였다.


먼저 부산역에 도착하자마자 탑승 대기 중인 택시 기사께 부산에서 운전이 어려운 지역이 어디인지를 여쭤봤다. “사람 나고 길 났지, 길 나고 사람 났어?” 1950년 한국전쟁 발발 후 피난민들이 집단으로 몰려와 정착한 산복도로, 이곳은 평균 해발 70m 이상의 산간지역에 개설된 주거지로 주거촌 형성 이후 도로가 났기 때문에 베테랑 택시기사들조차 들어가기 꺼리는 지역이라 입을 모았다.


이에 부산 지리에 밝고, 운전이 능숙한 지인을 대동하고 차량 대여에 나섰다. 본인의 이름을 딴 다방을 운영 중인 방영배(37) 씨는 운전병 출신의 부산 토박이지만 가급적 시내 운전은 자제하며, 대중교통을 애용한다고 강조했다. 차를 대여하고 망설일 것 없이 산복도로로 바로 향하는 여정 중 깜빡이를 켜지 않고 거침없이 차선에 ‘들이대’는 트럭과 버스를 심심찮게 마주할 수 있었다. 6차선 도로 한복판을 맨몸으로 횡단하는 손수레 아저씨의 갑작스러운 등장은 덤. 지금 내가 어디에 와있는지를 도로상황이 온몸으로 말해주고 있었다. “여기가 부산이다!”라고.


[부산운전체험] 도로·인구·지역 삼박자가 빚어낸 ‘운전 험지’ 괴담의 실체는? 분명 도로를 따라 운전했는데, 건물 1층으로 난 노란선과 안내 표지판은 여기가 도로인가 주차장인가 운전자를 혼란에 빠트렸다.



사람 나고 길 났지, 길 나고 사람 났나? ‘산복도로’


계획이 아닌 상황과 환경이 만든 ‘자연 발생 도시’ 부산의 도로는 구조가 비정형에 가까우며, 산복도로는 그러한 상황을 가장 잘 보여주는 지역이다. 필자가 소형차를 몰고 들어간 구간에선 양면에 불법 주차된 차량들이 빼곡한 탓에 맞은편에서 차라도 들어오면 어쩌나 하는 공포감이 들었고, 어쩌다 고개를 오른쪽으로 돌릴라치면 낭떠러지와 같은 가파른 계단과 빼곡하게 밀집한 주택이 촘촘히 자리 잡고 있었다. 지난해 11월 후면주차 중 추락한 차량 사고는 운전 부주의가 원인일 수도 있겠으나, 주차 공간 부족으로 옥상을 주차장으로 쓰는 이곳 상황도 한몫했을 것이다.


필자가 미로와 같은 구간을 빠져나오며 차량 바닥을 시원하게 긁어먹은 후 커브를 돌자마자 이번엔 건물 1층으로 난 도로가 우리를 맞이했다. 양쪽에는 여전히 거주민의 차량이 존재감을 과시했고, 친절하게 ‘2.3m' 이하 차량만 지날 것을 표지판이 경고하고 있었다. 마의 건물 1층 구간을 나서니 이번엔 급경사 내리막 구간이 나와 하강하는 롤러코스터의 기분을 선사했다. 노면이 보이지 않는 내리막을 연신 브레이크를 밟으며 주행하자 뒤따라오던 차량들은 참지 못하고 필자의 차량을 가로질러 바쁜 길을 재촉했다. 도로 설계자에 대한 분노와 본인의 운전미숙에 대한 죄책감이 교차하는 순간이었다.



[부산운전체험] 도로·인구·지역 삼박자가 빚어낸 ‘운전 험지’ 괴담의 실체는?



들어는 봤나, 육거리?


산복도로를 지나 도심 진입 전 마주한 오거리와 육거리는 컬쳐쇼크 그 자체였다. 신호를 어떻게 받아야 할지 몰라 진땀 흘리는 필자에게 조수석 방영배 씨가 때맞춰 조언해주지 않았다면 필자는 문자 그대로 도로 위의 김 여사로 아마 그 복판에 얼어붙었으리라.


과거 부산 여행 중 처음 봤던 오후 2시 영도대교의 도개광경을 목격하고, 금정산성의 악명 높은 커브 구간은 힘이 빠져 갈 수조차 없었다. 오히려 서면과 부산역을 중심으로 한 도심 구간이 운전하기 편리했다. 2016년 도로교통공단이 발표한 교통문화지수에서 부산시의 교통안전은 35.81점으로 전국 1위를 기록한 바 있다. 산복도로와 육거리의 충격에 서면 곳곳의 가변차선은 애교로 느껴졌을 정도. 그러나 운전문화는 35.90점으로 전국 최하위권을 기록한바, 운전자의 끼어들기와 난폭운전 또한 심심찮게 목격돼 운전 험지의 명성을 과시하기도 했다.


이 같은 부산의 교통난 해소를 위해 부산경찰청은 도심 주요 도로의 차량 속도를 50km, 이면도로는 30km로 제한하고 있으며, 상습 정체 구간 지역엔 터널과 대심도, 교량의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나 인구과밀과 포화상태에 가까운 교통량 해소에는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결국, 악명 높은 부산의 ‘운전 험지’ 괴담은 도로와 인구, 그리고 지역특성이 얽힌 복합적 도시문제의 산물이었던 셈이다. 부산이 괜히 부산인줄 아는가, 지명의 유래를 살펴보니 산이 가마솥 모양을 하고 있어 釜山이라 불렀는데, 조선 초기에는 산이 많아 富山이라 불렀다 한다. 오늘도 생업을 위해 부산 도로를 질주하는 운전자 분들의 건투를 빈다.




김희윤 기자 film4h@asiae.co.kr
최종화 기자 finale @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