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도종환 "동북아역사지도 중단, 사업 자체 부실 때문"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4초

도종환 "동북아역사지도 중단, 사업 자체 부실 때문" 도종환 문체부 장관 후보자
AD


[아시아경제 이종길 기자]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후보자가 일각에서 제기한 유사역사학 추종 의혹을 부인했다. 유사역사학은 가령 고대 시대에 우리 민족이 지금의 중국 땅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위대했다는 식의 주장을 하면서 지나친 민족주의 성향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자신들의 주장을 부정하면 식민사학이라고 공격한다.

동북아역사지도사업과 하버드 고대한국프로젝트를 무산시킨데 관련이 있어 이 같은 의혹을 받는 도 후보는 8일 "청문회를 통해 충분히 해명하려고 했으나, 사실과 다른 이야기들이 언론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을 통해 퍼지고 있어 당혹스럽다"고 했다.


동북아역사지도사업을 중단한 이유로 그는 사업 자체의 부실을 꼽았다. 도 후보자는 "지도 제작의 총체적 부실을 드러낸 교육부의 사안조사 결과 때문이었다"면서 "이후 동북아역사재단이 한 재심사 결과에서도 44점(100점 기준)을 받고 10억원 이상의 연구비 회수가 결정됐다. 심사위원 전원의 합의에 따라 내려진 결정이었다"고 했다.

이어 "동북아역사왜곡대책특별위원회 의원으로서 동북아시아 및 독도의 바른 역사를 정립하기 위해 노력했다"며 "특위에서 고대사 연구가 진영논리나 배타성을 극복하고, 상대방을 이념공격으로 무력화시키는 비학문적 태도를 넘어서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하버드대 고대한국프로젝트를 중단시켰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특위나 상임위에서 질의를 한 적도 없다. 개입한 적이 없다"고 했다. 이어 "권력의 힘으로 역사연구나 교육의 자율성을 훼손할 의도가 전혀 없다. 역사문제는 학문연구와 토론으로 풀어야 하지 정치가 좌지우지할 영역이 아니다"라고 했다.


도 후보자는 지난 7일 한겨레신문과의 통화에서 같은 의혹에 "싸워야 할 문제에는 싸우겠다"고 했다. 각종 의혹이 난무한 상황에서 단편적인 의견 표출로 도리어 상황을 혼란스럽게 했다.


그는 "그 표현은 독도, 동북공정 역사왜곡을 대상으로 이야기한 것이지, 역사학계와 싸우겠다는 의미가 아니었다. 일부 역사학자와 언론들이 제기한 유사역사학 추종자 등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주장과 낙인, 가정에 근거한 우려에 동의할 수 없다는 것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문체부 장관으로 임명된다면 박물관 정책, 문화재의 발굴과 보존, 연구자들을 위한 지원정책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역사학계와 긴밀하게 소통할 것이다. 편향되지 않고 균형감 있게 일하겠다"고 했다.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