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독립운동 못 했어도 '불매운동'은 한다" 광복절 맞아 日 불매운동 '활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NO재팬 1년' 소비자 4명 중 3명 "여전히 불매 동참 중"
유니클로, 8월 강남점 등 9곳 폐점
日 담배·게임 업계, 불매운동 영향 없다

"독립운동 못 했어도 '불매운동'은 한다" 광복절 맞아 日 불매운동 '활활' 지난해 8월 서울 세종대로에 설치된 '노(보이콧) 재팬-No(Boycott) Japan: 가지 않습니다 사지 않습니다' 배너기. 사진=아시아경제DB
AD


[아시아경제 허미담 기자] "역사를 잊은 민족은 되지 말아야죠."


오늘(15일) 제75주년 광복절을 맞은 가운데 일본제품 불매운동 동참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더욱 거세지고 있다. 지난해 7월 일본의 수출 규제로 촉발된 불매운동은 1년이 지난 지금도 여전히 활발하게 진행 중이다.


이로 인해 일본산 의류, 맥주, 자동차 등 불매운동의 주요 대상이 된 제품군은 국내 매출이 급감하면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모습이다. 특히, 'NO재팬'의 대표 브랜드로 떠올랐던 의류 브랜드 '유니클로'는 불매운동 여파로 이번 달에만 9개 매장을 폐점했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불매운동이 대체로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담배나 게임 등 대체재를 찾기 힘든 일부 업계는 오히려 매출이 상승하는 경우도 있어, 불매운동이 소비자 필요에 따른 '선택적 불매운동'으로 변질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전문가는 일본 제품을 구매한 이들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행위는 옳지 않다고 강조했다.


최근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일본불매 작년 대비 일본 수입 물품' ,'경제 보복 No Japan 이후 그리고 현재' ,'불매운동은 영원하다'라는 제목의 글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이들은 불매운동 전후 일본 주요 기업들의 매출을 비교하며 누리꾼들에게 꾸준한 불매운동 동참을 요구하고 있다.


SNS에서도 '일본 제품 불매 목록'이 다시 공유되고 있다. 불매 목록에는 렉서스·혼다 등 자동차 브랜드, 소니·파나소닉·캐논 등 전자제품 브랜드, 데상트·유니클로·ABC마트 등 의류 브랜드, 아사히·기린·삿포로 등 맥주 브랜드 등이 포함됐다.


"독립운동 못 했어도 '불매운동'은 한다" 광복절 맞아 日 불매운동 '활활' 최근 온라인 커뮤니티 등을 중심으로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재확산하고 있다.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 홈페이지 캡처.


시민들의 불매 움직임으로 인해 국내에 진출한 일본 기업들의 실적은 곤두박질치고 있다. 일본의 의류 브랜드 '유니클로'는 8월 한 달 동안 서울 강남점을 비롯한 서초점 등 전국 아홉 개 매장을 폐쇄하기로 결정했다. 2005년 국내 시장에 진출한 유니클로가 여러 매장을 한꺼번에 폐점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일본 승용차 업계도 직격탄을 맞았다. 올해 2분기 전체 자동차 수입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7.7% 증가했지만, 일본 승용차 수입액은 65.6% 줄었다.


국민 대다수 역시 여전히 불매운동 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다. 지난 12일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코바코)가 실시한 '8월 소비자행태조사' 결과, '현재 일본제품 불매운동에 동참하고 있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75%에 달했다. 즉, 소비자 4명 중 3명이 여전히 'NO재팬 운동'에 동참하는 것이다.


직장인 김모(27)씨 역시 1년째 불매운동을 하고 있다. 김씨는 "원래 일본산 화장품을 자주 썼지만, 'NO재팬 운동' 이후 일본산 화장품보다는 국산 화장품을 더 애용하고 있다"면서 "처음에는 일본산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게 불편할 것으로 생각했다. 화장품뿐만 아니라 볼펜, 맥주 등 평소 일본산 제품을 사용하는 게 많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1년이 지난 지금은 일본산 제품을 사용하지 않는 게 습관이 됐다"면서 "주변 사람들이 일본산 화장품을 사용하고 있으면 대체할 수 있는 다른 화장품을 추천해주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독립운동 못 했어도 '불매운동'은 한다" 광복절 맞아 日 불매운동 '활활' 지난 4월 서울 구로구 구로동 신도림 테크노마트 앞에서 한 시민이 닌텐도 스위치 동물의숲 에디션 구매 응모를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다만, 담배나 게임 업계는 대체재를 찾기 힘들다는 이유에서 불매운동 영향을 피해 가고 있다. 되레 매출이 상승하는 경우도 있어 '선택적 불매운동'이라는 지적이 나오기도 했다.


'선택적 불매운동'의 대표적인 사례는 지난 3월 일본 게임사 닌텐도가 출시한 '모여라 동물의 숲'(동물의 숲)이다.


당시 이 에디션을 구하기 위해 수백 명의 사람이 매장에 줄을 서는가 하면 전국적으로 품귀 현상이 빚어져 웃돈을 얹어서라도 해당 에디션을 구하려는 누리꾼들이 이어졌다.


'동물의 숲'을 구매했다고 밝힌 직장인 이모(26)씨는 "'동물의 숲'을 대체할만한 게임을 찾기 힘들다. 일본 제품을 지양하면 당연히 좋겠지만, 그렇다고 일본 제품 사용하는 게 죄는 아니지 않나"라며 "불매도 구매도 본인의 자유"라고 토로했다.


전문가는 불매운동을 타인에게 강요하는 것은 소비자의 권리를 침해하는 행동이라고 지적했다.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불매운동의 동력 자체가 작년에 비해 잦아든 상태"라며 "불매운동의 대표적인 품목으로 ▲유니클로 ▲자동차 ▲맥주를 꼽을 수 있다. 불매운동의 상징이라고 볼 수 있는 이 세 가지를 제외하고 소비자들은 자신의 필요에 따라 일본 제품을 사는 경우가 더러 있다. '동물을 숲'을 사기 위해 사람들이 줄을 선 사례가 대표적인 예"라고 분석했다.



이어 "일본 제품을 샀다고 해서 타인을 지나치게 비난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면서 "타인의 구매행위에 대해 설득은 할 수 있어도 침해는 할 수 없다. 소비자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기 위해선 원색적 비난을 자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