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재산 팔아도 전세보증금 못돌려줘" 1.2만 가구 깡통전세 위험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재산 팔아도 전세보증금 못돌려줘" 1.2만 가구 깡통전세 위험 자료사진[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재산을 다팔아도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돌려주기 어려울 수 있는 이른바 '깡통전세' 위험 임대가구(집주인)가 전국적으로 1만2000여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최근 전세시장 상황 및 관련 영향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211만 임대가구 중에서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이 100%를 초과하는 가구 비중은 지난해 3월 기준으로 0.6% 수준이었다.


211만 가구 중에서 0.6%는 1만2600여가구다.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이 100%를 초과한다는 말은 부채가 전체 자산보다 많아 재산을 다 처분해도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반환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뜻이다.


임대가구를 포함한 전체 가구를 놓고 봤을 때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이 100%를 초과한 가구의 비중은 2.8%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임대가구의 재무안정성이 전체 가구에 비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내 임대가구의 소득구성을 보면 소득수준 상위 60~100%인 고소득가구(4~5분위)의 비중이 작년 3월 기준 64.1%에 달했다. 이들 가구는 또한 실물자산을 평균 8억원 가량 보유하고 있어 총자산(금융+실물자산) 대비 총부채(보증금 포함) 비율이 26.5%로 낮은 수준을 유지 중이다.


한은 관계자는 "전세가격 하락은 일차적으로 임대인의 보증금 반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나 임대가구의 재무건전성이 대체로 양호한 점에 비추어 관련 리스크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재산 팔아도 전세보증금 못돌려줘" 1.2만 가구 깡통전세 위험 자료 : 한국은행


그러나 금융자산만을 고려해 보면 임대가구의 보증금 반환 능력은 전반적으로 약화하고 있다는 것이 한은의 평가다.


2012년 3월부터 작년 3월까지 임대가구의 보증금이 연평균 5.2% 상승했지만 금융자산은 3.2% 증가에 그쳤다. 이는 차입 및 갭투자를 통한 부동산 구입 등으로 임대가구의 금융부채(연평균 7.4%) 및 실물자산(6.1%)이 상대적으로 큰 폭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지난해 3월 기준으로 임대가구의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는 1억1000만원으로 전체가구의 금융부채 5000만원을 크게 상회했다.


금융자산 대비 보증금 비율도 2012년 3월 71.3%에서 지난해 3월 78.0%까지 상승했다. 특히 금융부채를 보유한 임대가구의 경우 지난해 3월 기준 보증금이 금융자산의 91.6% 수준까지 높아졌다.



변성식 한은 금융안정국 안정총괄팀장은 "향후 전세가격이 추가 조정되더라도 임대가구의 대부분이 보유 금융자산 처분 및 금융기관 차입을 통해 전세가격 하락에 대응이 가능하다"면서도 "부채레버리지가 높은 일부 다주택자 등의 경우 보증금 반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말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