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강아지가 제 자식이에요" 결혼·출산 대신 반려동물 선택하는 2030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46개월 연속 출생아 수 감소
20~30대 비용 부담, 고용 불안
반려동물 보유 가구 새로운 가족 형태로

"강아지가 제 자식이에요" 결혼·출산 대신 반려동물 선택하는 2030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관계 없음/사진=게티이미지
AD


[아시아경제 김가연 기자] "아이 안 낳고 강아지 키우며 살려고요"


결혼 2년 차 직장인 A(32) 씨는 '자녀계획이 있나'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A 씨는 "아이를 키우기 위해서 들어가는 시간과 돈이 어마어마하지 않나"라며 "맞벌이이긴 하지만 현실적인 여건상 아이는 키울 수 없을 것 같다는 판단을 했다. 양육비도 문제지만 아이가 태어나면 몇 년은 옆에 붙어 보살펴줘야 될 텐데 (남편과 저)둘 중 아무도 일을 쉬거나 그만두고 싶어하지는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1년 전쯤 유기견센터에서 강아지 두 마리를 입양했는데 이 아이들이 제 자식이 됐다"며 "그렇다 보니 아이를 낳아야겠다는 생각은 더 없어진 것 같다. 아마 평생 반려견들을 기르면서 살지 않을까 싶다"고 덧붙였다.


최근 저출생이 심각한 사회문제로 떠오른 가운데 결혼과 출산을 포기하고 반려동물을 기르는 20·30 밀레니얼 세대(1980년대 초부터 2000년대 초 출생자)가 증가하고 있다.


46개월 연속 출생아 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지난달 27일 발표한 '2019년 9월 인구 동향'에 따르면 올 3분기 전국 출생아 수는 7만379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8.3% 감소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 또한 지난해 동기대비 0.08명 감소한 수치인 0.88명으로 역대 최저 수치를 기록했다.


20~30대는 그 이유에 대해 비용 부담, 고용 불안 때문이라고 답했다.


지난해 보건복지부 '2017년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국민 인식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저출산의 이유로 '결혼 후 발생하는 비용의 부담'31.2%), '취업난 또는 고용불안정성'(19.5%), '일·가정 양립이 어려운 사회문화'(18.1%) 등을 꼽았다.


"강아지가 제 자식이에요" 결혼·출산 대신 반려동물 선택하는 2030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관계 없음/사진=연합뉴스


이 가운데 반려동물 보유 가구가 새로운 가족의 형태로 자리 잡으면서 '펫팸족', '딩펫족', '혼펫족' 등 이들을 지칭하는 단어도 생겼다. 펫팸족은 가정 내에서 키우는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여기는 사람들을 일컬으며 딩펫족은 아이를 낳지 않고 반려동물을 키우는 맞벌이 부부, 또 혼펫족은 결혼을 하지 않고 혼자 살면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사람을 의미한다.


반려동물 보유 가구 수는 매년 증가해 4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펫사료협회 '반려동물 보유 현황 및 국민 의식 조사 보고서(2017)'에 따르면 전체 1956만 가구 중 반려동물 보유 가구는 563만 가구로 조사됐다. 이는 지난 2012년 359만 가구에서 약 57% 증가한 수치다. 반려견은 444만 가구 660만 마리, 반려묘는 109만 가구 207만 마리로 추정된다.


언니와 함께 자취하고 있다는 직장인 B(26) 씨는 "대학생 때부터 강아지를 데려오고 싶었는데 여건이 안돼서 못 키우다가 언니와 함께 살게 되면서 강아지를 입양했다"며 "언니도 저도 결혼 생각이 없어서 둘이 강아지 키우며 살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직장인 C(24) 씨는 "결혼 생각은 있지만 아이는 낳기 싫다"며 "결혼을 하게 되면 고양이나 강아지를 기를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반려동물을 기르는 데에도 물론 비용, 노력이 들겠지만 실제 자녀를 양육하는 것보다는 적게 들지 않겠나"라며 "비용도 문제지만 내가 나 스스로를 포기하면서까지 아이를 잘 기를 수 있을지 자신이 없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는 비용 등 현실적인 이유로 충족하지 못하는 욕구를 반려동물을 기르는 것으로 대신한다고 분석했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사람은 가정을 이루면 자신이 뭔가 돌봐줘야 한다는 욕구, 애정을 주고 싶은 욕구가 생긴다"며 "그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녀를 낳기에는 경제적으로도 힘들고, 양육을 잘할 수 있을지에 대한 부담감과 책임감이 크게 느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곽 교수는 "반려동물의 경우 부담감, 책임감이 적고, 비용이 들긴 하지만 자녀를 키우는 것보다는 훨씬 적은 비용이 든다"라며 "그렇기 때문에 사랑하고 싶고, 애정을 주고 싶은 대상이 자녀라기보다는 반려동물로 대치되어 만족한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가연 기자 katekim22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