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내일채움공제 첫 만기자 탄생…"5800만원 목돈으로 내집 마련"(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내일채움공제 첫 만기자 탄생…"5800만원 목돈으로 내집 마련"(종합) 23일 서울 반포동 세빛섬에서 열린 내일채움공제 만기 기념행사에서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 장관과 우수 중소기업 대표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AD

[아시아경제 이은결 기자] "입사 7년차에 내일채움공제에 가입해 드디어 공제금 5800만원을 수령합니다. 내집 마련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이영광 한국프라켐 영업본부 부장)


2014년 8월부터 시행된 내일채움공제의 첫 만기자가 나왔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3일 서울 반포동 세빛섬에서 내일채움공제의 첫 만기 도래를 축하하고 공제를 유지한 중소기업 대표와 우수 인재 200여명과 기념행사를 열었다. 만기자를 많이 배출한 중소기업 대표 30명은 이날 정부로부터 감사패를 수상했다.


약 4만5000명이 가입한 내일채움공제의 첫 만기자는 지난달 기준 522명이다. 이번달에는 158명, 다음달 126명, 12월 149명으로 매월 추가 만기자가 나오고 있다. 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 인력지원 특별법'에 의거해 중소기업 핵심인력의 장기재직과 자산형성을 위해 기업이 5년간 매월 일정금액을 공동적립하면 핵심인력이 적립금을 전액 수령하는 제도다.


이날 행사에 참여한 이영광 한국프라켐 영업본부부장은 "적지않은 금액을 목돈으로 만들어주신 정부와 사장님, 직원들에게 감사하다"며 "5년의 납입기간이 길다고 생각했지만 만사가 그렇듯 만기가 지나니 견딜만 했다. 중소기업을 위한 여러 제도가 있지만 내일채움공제가 단연 으뜸"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김홍근 드림텍 대표는 "저희 회사는 충남에서 최초로 내일채움공제에 가입했다. 5년이 지나 첫 만기 기업으로 이 자리에 서게 돼 감회가 새롭다"며 "내일채움공제로 이직률이 많이 감소하고 직원들에게 동기부여가 돼 회사도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대표는 "노동부의 청년 내일채움공제는 기업부담금이 없는 데 반해 중기부의 내일채움공제에는 기업부담금이 있다. 기업 부담금을 줄여 가입을 확산했으면 한다"고 건의했다.


내일채움공제의 개선방향에 대한 토론도 이어졌다. 현재 내일채움공제에는 전체 중소제조업체 42만7848개 중 1만1524개만 가입해 중소기업계 전반으로 확산이 미흡하다는 지적을 받는다. 올해 신규 가입자도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지현 제이엠커리어 본부장은 "내일채움공제에 직원 30%가 가입해 있다. 마음같아서는 전직원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싶은데 회사의 부담이 있어서 그렇게 하지 못하고 있다"며 "가입하지 못한 직원들에 대해서도 장기근속 할 수 있는 지원방안이 필요하다"고 호소했다.


이에 대해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문재인 정부에서 '미래성과공유제'라는 것을 운영하고 있다. 미래에 발생할 중소기업의 이익을 직원들에게 돌려주겠다고 협약을 맺는 것으로 세제 혜택과 정부지원사업 우대를 해준다"며 "2020년까지 10만개 기업을 목표로 시행 중인데 현재 2만5000개 기업이 가입했다. 미래성과공유제에도 많은 관심을 가져주시면 내일채움공제처럼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박 장관은 "청년들의 내일을 위해서 이 목돈이 앞으로의 꿈을 이룰 수 있는 쌈짓돈이 됐으면 좋겠다"며 "중기부는 핵심인력이 장기근무를 할 수 있고, 우수한 인재가 중소기업에 근무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정책을 개발할 생각이다. 특히 연구개발 투자부분에 '사람투자' 항목을 만들어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석유제조업체 두산양행에 근무하는 나상민씨는 "정부가 근로시간 단축정책을 시행 중인데 준비되지 않은 기업 입장에서는 굉장히 부담이다. 내년부터 주 52시간 근무제를 도입해야하는데 막막한 심경"이라며 "정부의 제도적 보완 계획이 궁금하다"고 질문했다.



박 장관은 "중기부가 8600개 제조업체를 조사한 결과 50%가 주 52시간 근무제 시행 준비가 안됐다고 답변했다"면서 "정부에서 (제도 보완을) 준비는 하고 있다. 그런데 국회에서 탄력근로제 6개월 확대 법안이 통과되는 것이 우선이기에 그 상황을 봐서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은결 기자 le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