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우리나라 학생들, 읽기·수학·과학 성취수준 OECD 상위권 유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PISA 2018 조사에서 모든 영역 상승·유지
잡지·신문읽기·공개토론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낮아
'학생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 3년 전보다 상승

우리나라 학생들, 읽기·수학·과학 성취수준 OECD 상위권 유지
AD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읽기와 수학, 과학 성적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도 3년 전에 비해 소폭 상승했다.


OECD는 회원국 37개국 포함해 세계 79개국의 학생 약 71만명을 대상으로 한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PISA) 2018' 결과를 3일 공식 발표했다.


PISA는 만 15세 학생의 읽기, 수학, 과학 소양의 성취와 추이를 국제적으로 비교하고, 교육맥락변인과 성취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3년을 주기로 시행되는 국제 비교 연구다. 우리나라는 첫 주기인 'PISA 2000'부터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전국 188개 중·고교 학생 6876명이 참여했다.


평가 결과, 우리나라는 OECD 회원국 가운데 읽기 2~7위, 수학 1~4위, 과학 3~5위로 전 영역에서 평균보다 높은 성취를 나타냈다. 3년 전 'PISA 2015'에서의 순위는 각각 3~8위, 1~4위, 5~8위였다.


또 전체 참여국 중에서도 읽기 6~11위, 수학 5~9위, 과학 6~10위로 높은 순위를 보였다. PISA 2015에서의 순위와 비교하면 읽기(4~9위)는 소폭 하락한 반면 수학(6~9위)과 과학(9~14위)은 소폭 상승했다.


우리나라 학생들, 읽기·수학·과학 성취수준 OECD 상위권 유지


국가별 순위에서는 중국의 베이징, 상하이, 장쑤성, 저장성만을 기준으로 한 중국 B-S-J-Z 지역이 읽기에서 1~2위, 수학과 과학에선 모두 1위에 올랐다. 이어 싱가포르가 읽기 1~2위, 수학과 과학에선 2위를, 마카오(중국)가 읽기 3~5위, 수학 3~4위, 과학 3위를 각각 차지했다.


OECD 회원국 중에서는 읽기 영역에선 에스토니아, 캐나다, 핀란드, 아일랜드가, 수학은 일본이, 과학은 에스토니아와 일본, 핀란드가 각각 우리나라를 앞섰다.


우리나라의 평균점수는 읽기 514점, 수학 526점, 과학 519점으로 3년 전에 받은 점수(517점·524점·516점)와 비교하면 읽기는 3점 하락하고 수학과 과학은 2점과 3점 높아졌다.


성별 성취도에서는 PISA 2015에 비해 남학생의 평균 점수는 상승하고 여학생의 평균 점수는 하락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OECD 평균에서도 읽기와 과학은 여학생의 점수가 높고, 수학은 남학생의 점수가 높게 나타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읽기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여학생의 점수가 높을 뿐 수학과 과학은 남학생의 점수가 높아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우리나라 학생들, 읽기·수학·과학 성취수준 OECD 상위권 유지


우리나라는 또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OECD 평균보다 '읽기 즐거움, 읽기 어려움 인지' 지수는 높게 나타난 반면, '읽기 능력 인지' 지수는 낮게 나타났다. 'PISA 2009' 조사와 비교할 때 우리나라 남학생의 읽기 즐거움 지수는 0.2 상승하고 여학생의 읽기 즐거움 지수는 변화가 없는 반면, OECD 평균 남학생과 여학생의 읽기 즐거움 지수는 다소 하락했다.


'학교 밖 읽기 경험'의 경우 우리나라 학생들의 '만화, 소설류, 비소설류' 읽기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높았고, '잡지, 신문'의 읽기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낮았다.


또 '온라인 채팅, 온라인 뉴스 읽기, 온라인으로 실용적인 정보 검색하기'의 비율은 OECD 평균과 유사했지만, '이메일 읽기, 특정한 주제에 관해 알기 위해 온라인 정보 검색하기, 온라인으로 집단 토론 또는 공개 토론 참여하기' 비율은 OECD 평균보다 낮았다.


이와 함께 우리나라 학생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 지수(6.52)는 OECD 평균(7.04)보다 낮았지만, PISA 2015 조사(6.36)와 비교해선 소폭 상승했다.


교육부는 최상위권을 보이고 있는 우리나라 만 15세 학생들의 읽기, 수학, 과학성취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성취 수준별 추이와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맞춤형 학습 지원 방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특히, 읽기에서의 남녀 학생 간 성취 수준 차이를 줄이기 위해 남학생과 여학생의 문장 이해 능력, 읽기 시간 등에서 나타나는 특성 차이에 대한 심층적인 원인 분석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생들의 삶에 대한 만족도가 상승한 것은 긍정적인 현상"이라며 "이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