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부실기업 짊어진 국책은행…부실채권 증가에 허리 휜다(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6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코로나 사태로 유동성 위기 두산重·쌍용차 금융지원
부실채권 늘어 건전성 악화…정책금융기능 마비 우려

부실기업 짊어진 국책은행…부실채권 증가에 허리 휜다(종합)
AD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두산중공업에 이어 쌍용자동차마저 유동성 위기에 직면하면서 '방파제' 역할을 하는 산업ㆍ기업ㆍ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들의 고심도 커지고 있다. 이미 정부 정책에 따라 금융권이 지원할 총 100조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규모를 감당하는 상황에서 기업 회생이라는 역할 수행을 위해 추가적인 출혈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국책은행들은 기업 정상화에 총력을 쏟겠다는 입장이지만 대기업 부실이 본격화될 경우 건전성 악화는 물론 구조조정 역량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7일 금융감독원 및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산은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2.67%로 국내 19개 은행 중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다른 국책은행인 수은이 1.79%로 2위, 기은이 1.28%로 4위였다. 여기서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인 케이뱅크(1.41%)를 제외하면 국내 19개 은행 가운데 국책은행이 나란히 1,2,3위를 차지하는 셈이다. NPL 비율은 전체 채권 규모에서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여주는 대표적 건전성 지표로 통상 국책은행은 기업 구조조정을 담당해 부실채권 발생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국책은행 3곳의 부실채권비율 평균은 1.91%로 시중은행 평균(0.41%)을 5배 가까이 웃도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이달부터 올 12월까지 만기가 도래되는 일반기업 회사채와 CP(기업어음)의 규모는 총 36조원에 이른다. 이 중 AA등급 이상 우량 회사채와 A1등급 CP 등이 25조1000억원, 나머지 비우량등급 회사채와 CP가 11조원이다.


현재 국책은행은 기업 응급실 역할을 맡고 있다. 산은과 수은은 지난달 27일 두산중공업에 1조원 긴급자금 지원을 결정했다. 또 산은이 지난달 3일 정부의 'LCC 항공사 금융지원' 발표 이후 31일까지 LCC 항공사 앞 금융지원은 총 1260억원에 달한다. 이달 중 아시아나항공을 통해 에어부산에 최대 280억원을 지원토록 하고 티웨이항공에 대해서도 추가로 지원할 예정이다.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자금과 관련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심사가 완료되는 이달 1500억~2000억원을 다른 은행들과 공동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게다가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 작업도 남아 있다. HDC현산 측은 최근 산은 등에 아시아나항공 차입금과 관련해 지원 요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산은은 지난해 수은과 아시아나항공이 발행한 영구채 5000억원을 인수했고 한도 대출 8000억원, 스탠바이 LC(보증신용장) 3000억원을 제공하는 등 총 1조6000억원을 지원했다.


여기에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그룹의 자금지원 거부로 인해 쌍용차마저 손을 벌리고 있는 상황이다. 쌍용차는 산은 대출 1900억원을 포함해 차입금이 4000억원을 넘는다. 당장 올해 7월 산은 차입금 700억원이 만기를 맞는다.


문제는 산은 등 국책은행의 자본 여력이 정부 대책 소화는 물론, 기업 심폐소생에 팔을 걷어 붙일 정도로 충분하지 않다는 점이다. 산은과 기은의 지난해 말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보통주 자본비율은 각각 12.3%, 10.3%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감내 가능한 자본비율을 9%로 가정할 때 인수 가능한 위험가중자산은 산은 5조원, 기은 2조3000억원에 불과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산은, 수은, 기은의 지난해 말 BIS 기준 총자본비율은 각각 13.97%, 14.48%, 14.45%로 국내은행 평균 15.25%보다 낮다. 단순기본자본비율은 산은 11.28%, 수은 10.37%, 기은 6.14%로 전년에 비해 각각 0.27%포인트, 0.36%포인트, 0.05%포인트 감소했다. 이런 가운데 대손충당금적립비율의 경우 산은, 수은이 늘었지만 기은은 소폭 감소했다. 국제신용평가사인 무디스는 최근 기업은행의 신용등급 하향조정 검토에 착수했다. 기업은행은 정부가 배경에 있지만 독자적으로 빚을 갚을 수 있는 능력은 떨어질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국책은행 내부에서도 향후 부실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 국책은행 관계자는 "시장 전체의 붕괴를 막아내야 하는 압박감과 건전성 악화의 우려가 동시에 몰려들고 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는 신성장산업 지원, 해외진출 촉진, 투자형 정책금융 등 여타 국책은행 역할이 멈춰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