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도 탄핵심판 선고 후 코스피 단기 반등
환율 하락에 따른 외국인 수급 개선 기대도
무역 불확실성 여전해 보수적 접근 필요
국내 증시가 올해 가장 큰 이벤트였던 미국발 관세와 탄핵정국을 소화하기 시작하면서 향후 투자 전략에 이목이 쏠린다. 전문가들은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에 따른 단기 반등 가능성에 문을 열어두면서도 관세 리스크 노출이 큰 업종 투자엔 신중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윤석열 탄핵 심판 선고를 기점으로 증권가에선 향후 코스피 강세를 점치는 분석들이 상당수 나왔다. 국내 증시의 투자 심리를 짓누르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폭탄과 탄핵정국이란 재료가 소멸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김수연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 넉 달 동안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였던 악재가 해소됐다"며 "선고 결과를 확인했으니 눌려있던 밸류에이션이 확대되며 상향 안정될 가능성이 커졌다. 코스피 상승을 예상한다"고 말했다. 지난달 31일 공매도 전면 재개를 시작으로 지난 3일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이튿날 윤석열 탄핵 선고 등을 거치며 시장이 불확실성이란 악재를 하나씩 지워나가고 있다는 평가다.
과거 두 차례 탄핵 정국에서 증시가 1년여간 반등을 보인 점 역시 강세론의 근거가 되고 있다. 앞서 코스피는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있었던 2004년 5월 14일 이후 1년간 16% 올랐다.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심판 선고가 있었던 2017년 3월 10일 이후 1년 동안에도 17.62% 상승한 바 있다. 이밖에 조기 대선 국면에 접어들면서 각 정당과 유력 후보들이 내놓는 각종 대선공약과 추경 예산안 등 재정정책 추진 역시 투자 심리를 자극하는 요소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관세 충격으로 레벨다운된 코스피는 2430선 지지력을 바탕으로 반등세를 이어갈 전망이고 1차 반등 목표는 2750선"이라며 "새로운 정권과 조기 대선 확정에 따른 대선 후보들의 정책 관련주 기대감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다"고 짚었다.
그러나 아직 안심하기엔 이르다는 신중론도 존재한다. 미국의 상호관세에서 제외됐던 반도체·의약품의 별도 관세 부과가 예고된 상황에서 원·달러 환율까지 하락할 경우 한국 수출의 가격 경쟁력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황준호 상상인증권 연구원은 "미국이 촉발한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다른 국가들로 확산할 경우 현재 경기 둔화로 위축된 한국 수출이 경기소비재들을 중심으로 보다 부진할 가능성이 높다"며 "이번 주 국내 증시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상호 관세 및 그에 따른 무역 불확실성 증대 부담으로 인한 하방 압력이 지속되면서 하락장 지속이 예상된다"고 진단했다.
지금 뜨는 뉴스
다만 환율 하락에 따른 외국인 수급 개선은 주가 상승에 동력이 될 수 있기에 주시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원화 약세가 진정되는 초기 국면에서는 외국인 보유 비율이 축소됐던 대형주, 수출주 중심의 접근 전략이 필요하다"며 "특히 반도체(-3.4%포인트)와 조선(-2.5%포인트)은 2024년 고점 대비 외국인 지분율이 가장 많이 축소된 업종이라는 점에서 비중 확대가 필요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김진영 기자 camp@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