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창호 위원장·김용원 상임위원 사퇴 촉구
국가인권위원회가 내부 자유게시판에 '신고·삭제'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해 사실상 검열을 시도한다는 주장이 나온 데 대해 더불어민주당은 "입틀막 인권위원회라니 기가 막힌다"고 맹비난했다.
이나영 민주당 부대변인은 1일 논평을 내고 "인권 추락에 앞장서는 안창호 인권위원장과 김용원 인권위 상임위원은 자리에서 물러나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부대변인은 "내란수괴 윤석열 비호에 앞장서 인권위를 세계국가인권기구연합 특별심사 대상으로 전락시킨 안 위원장과 김 상임위원이 내부 게시판 검열로 직원 입틀막에 나섰다"면서 "비뚤어진 우윤충정으로 인권위에 오욕을 남기더니 인권위 명예 회복을 위한 내부 비판마저 틀어막을 셈인가"라고 직격했다.
이어 "검열을 막아야 할 인권위가 앞장서 검열을 하겠다니, 나라 망신도 이런 망신이 없다"며 "내란수괴에 대한 충성심에 내란으로 무너지는 대한민국의 국격이 보이지 않는가. 내란 옹위 세력 안창호, 김용원의 만행에 왜 대한민국의 인권 수준이 추락하고 국민께서 그 치욕을 감당해야 하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국가인권위원회는 철면피들의 내란공작소가 아니"라며 "안창호, 김용원 두 사람은 본인들의 말과 행동이나 제대로 단속하고, 인권위에서 당장 손을 떼기를 바란다"고 일갈했다.
인권위는 전날 설명자료를 통해 "특정인(부서)을 모욕·비방하거나 불분명한 정보가 담긴 일부 게시글로 인해 직원 인격권 침해 등 인권 문제가 발생한 바, 개선이 필요하다는 직원들의 문제 제기가 있었다"며 "이에 직원들이 자유롭게 게시글을 신고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밝혔다.
지난달 28일 안 위원장은 내부망 자유게시판에 ‘신고’ 기능을 신설해 관리자에게 삭제 권한을 부여하는 내용의 ‘자유게시판 운영 개선계획’을 승인했다.
이에 대해 인권위의 이번 신고·삭제 시스템 도입은 내부 여론을 검열하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이 인권위 안팎에서 나온다.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인권위지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자유게시판 검열은 공안 시대로의 회귀"라며 "구성원 의견 수렴 절차도 없이 우선 운영한 뒤에 의견 수렴을 받으려는 계획 자체가 인권위 구성원들의 자유로운 의견 개진과 표현의 자유를 제한하는 조치"라고 비판했다.
지금 뜨는 뉴스
한편 인권위는 해당 시스템에 대해 다음 달부터 오는 11월까지 시범운영을 거쳐 직원 의견을 수렴한 뒤 확정할 계획이라는 입장이다.
문혜원 기자 hmoon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