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탐내는 '조선업' 한국이 1위 아니었어?" 시장 주도하는 中[中 기술력 실상은?]③

시계아이콘01분 57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중국 조선업이 빠르게 성장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을 앞지르고 있다.

중국이 LNG선 기술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있고, 글로벌 선주사들과 협력을 확대하며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으로의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관계자는 "중국 조선업은 단순한 가격 경쟁력만으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다. 정부 지원, 기술 혁신, 친환경 선박 개발, 스마트 조선소 구축 등 다방면에서 글로벌 조선 시장을 장악할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면서 "한국이 조선업 강국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LNG선 등의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에서의 기술 우위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면서 스마트 조선소와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美 탐내는 '조선업' 한국이 1위 아니었어?" 시장 주도하는 中[中 기술력 실상은?]③
AD

중국 조선업이 빠르게 성장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을 앞지르고 있다. 액화천연가스(LNG)선, 컨테이너선,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등 다양한 선종에서 중국 조선소의 점유율이 급격히 상승하는 중이다. 한국은 여전히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지만, 중국의 저가 공세와 빠른 기술 발전 속도를 감안하면 장기적으로 위협이 될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중국제조 2025' 앞세운 중국 조선업, 한국과 격차 확대

20일 S&P 글로벌마켓 인텔리전스의 신조선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신조선 수주량은 4143척, 총 1억3843만총톤으로 전년 대비 61% 증가하며 역대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 중 중국은 약 70%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했다.


한국수출입은행도 '한국 조선업의 대형선 수주현황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조선업 수주 점유율은 2023년 20.6%에서 2024년 11월까지 18.1%로 감소한 반면 중국은 같은 기간 60%에서 70%로 점유율이 상승하며 한국과의 격차를 더욱 벌렸다고 분석했다.

"美 탐내는 '조선업' 한국이 1위 아니었어?" 시장 주도하는 中[中 기술력 실상은?]③

특히 대형 탱커와 컨테이너선 시장에서 중국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과거 한국이 우위를 점하던 수에즈막스(Suezmax)급 유조선 시장에서 2024년 중국은 52%의 점유율로 한국(41%)을 앞질렀다. VLCC 시장에서도 한국의 점유율은 2023년 0%에서 2024년 22%로 회복했지만 여전히 중국에 뒤처진 상황이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에는 중국제조2025를 앞세운 중국 정부의 공격적인 투자와 지원이 있다. 중국은 대규모 조선소를 운영하며 상업용 선박뿐만 아니라 군함까지 생산하는 등 생산 능력을 극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하이 인근의 장난(Jiangnan) 조선소와 후둥-중화(Hudong-Zhonghua) 조선소는 상업용 선박과 군함을 동시에 생산하며 중국 해군의 현대화를 지원하고 있다.


중국 조선업의 또 다른 강점은 친환경 선박과 스마트 조선소 기술 발전이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LNG 추진선, 암모니아·메탄올 추진선 등 친환경 선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은 이 시장에서도 빠르게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다. 클락슨리서치는 2023년 기준 중국 조선소들은 암모니아·메탄올 추진선 수주의 50% 이상을 차지했으며, 한국이 강점을 보이던 LNG 추진선 시장에서도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또 중국선박공업그룹(CSSC)을 비롯한 주요 조선사들은 인공지능(AI) 기반 생산관리 시스템, 자동 용접 로봇, 디지털 트윈 기술을 도입하여 조선소의 생산 효율성을 높이고 있다.

"美 탐내는 '조선업' 한국이 1위 아니었어?" 시장 주도하는 中[中 기술력 실상은?]③
韓조선업, 경쟁력 약화 위기

이에 반해 한국 조선업이 경쟁력을 잃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거 한국 조선업은 199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 글로벌 1위를 유지했지만 2010년대 중반 이후 구조적인 문제들이 겹치며 어려움을 겪기 시작했다.


가장 큰 원인은 무리한 저가 수주 전략이다.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한국 조선사들은 2000년대 후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수주를 확보하기 위해 원가를 고려하지 않은 저가 수주를 지속했다고 지적했다. 2010년대 초반 해양플랜트 사업에 집중 투자했다가 유가 하락으로 프로젝트가 줄줄이 취소되면서 대규모 적자를 기록하기도 했다.


인력난과 생산성 저하도 문제로 지적됐다. 산업연구원(KIET) 관계자는 "조선업은 장기적인 기술 축적이 중요한 산업이지만, 2015년 이후 구조조정과 실적 악화로 인해 숙련된 인력들이 대거 이탈했다"며 "반면 중국은 대규모 기술 교육 및 인력 양성 프로그램을 통해 숙련공을 적극 확보하며 경쟁력을 높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조선업은 여전히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HD한국조선해양, 한화오션(옛 대우조선해양), 삼성중공업 등은 LNG선 시장에서 독보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이 수주한 LNG선의 평균 가격은 중국 대비 약 20~30%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술적 우위가 언제까지 지속될지는 장담할 수 없다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중국이 LNG선 기술 확보를 위해 연구개발(R&D)을 강화하고 있고, 글로벌 선주사들과 협력을 확대하며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으로의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기 때문이다.


AD

이 관계자는 "중국 조선업은 단순한 가격 경쟁력만으로 성장하는 것이 아니다. 정부 지원, 기술 혁신, 친환경 선박 개발, 스마트 조선소 구축 등 다방면에서 글로벌 조선 시장을 장악할 전략을 실행하고 있다"면서 "한국이 조선업 강국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LNG선 등의 고부가가치 선박 시장에서의 기술 우위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면서 스마트 조선소와 친환경 기술 개발을 통한 경쟁력 강화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세종=강나훔 기자 nahum@asiae.co.kr
세종=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놓칠 수 없는 이슈 픽

  • 25.04.1706:10
    정갑영 전 총장 "갈등 풀려면 경제 성장해야…해법은 교육"
    정갑영 전 총장 "갈등 풀려면 경제 성장해야…해법은 교육"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1610:10
    김형오 "개헌으로 제왕적 대통령제 결별해야"
    김형오 "개헌으로 제왕적 대통령제 결별해야"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1010:00
    손봉호 “헌재 결정에 승복 안하면 자해행위”
    손봉호 “헌재 결정에 승복 안하면 자해행위”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0911:19
    정세균 "국민통합 안 되는 원인은 정치…갈등 조장 세력 단절해야"
    정세균 "국민통합 안 되는 원인은 정치…갈등 조장 세력 단절해야"

    편집자주헌법재판소가 대한민국 공동체의 분열에 제동을 걸었다. 지난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결정은 변화의 마중물이다. 고난과 역경 앞에서 좌절하지 않는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력은 세계를 놀라게 했다. 이제는 혐오와 반목의 그림자를 걷어내고, 미래를 준비해야 할 때다. 60일도 남지 않은 제21대 대통령선거는 중요한 시험대다. 다시 갈등과 혼돈의 늪에서 헤맬 수는 없는 노릇이다. 우리 사회의 상처를 치유하고,

  • 25.04.0811:41
    양극단으로 쪼개진 사회…회복과 통합, 그 해법은
    양극단으로 쪼개진 사회…회복과 통합, 그 해법은

    "신뢰가 없으면 공동체 구성원 간에 믿음이 없으니, 나라가 바로 설 수 없다." 정치 원로인 문희상 전 국회의장은 8일 아시아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춘추시대 유학자인 공자(公子)가 남긴 말을 전했다. 지난겨울 비상계엄의 충격파 속에 혼돈에 휩싸여 있던 대한민국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관한 얘기다. 문 전 의장은 "공자 말씀이 ‘정치가 무엇이냐’를 물으면 군사(국방, 안보)와 식량(경제), 믿음(공동체) 3가지를 말했다"면

  • 25.04.2107:20
    유종일 "이재명 '성장 전략 짜 달라' 전화"
    유종일 "이재명 '성장 전략 짜 달라' 전화"

    유종일 '성장과 통합' 상임공동대표가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지난 18일 오전 9시, 서울 중구 충무로 아시아경제 스튜디오에서 1시간 20분 동안 진행된 인터뷰에서 유 대표는 "시장 원리를 거스르면 목표 달성도 못 하고 부작용만 커진다"고 말했다.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을 비판하며 "원자력은 꼭 필요하다. 가급적 빨리 신규 원전을 건설해야 한다"고 소신을 밝혔다. 또 "연공서열제를 개혁해야 정

  • 25.04.1807:39
    양기대 "통합 필요한 세력 진정성 있게 껴안아야"
    양기대 "통합 필요한 세력 진정성 있게 껴안아야"

    민주당 비명(비이재명)계 전직 의원들의 모임인 '초일회' 간사인 양기대 전 국회의원이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했다. '희망과 대안 포럼' 이사장이기도 한 양 전 의원은 "정권 교체가 중요하다"며 "제3세력 태동 가능성은 사그라들었다"고 단언했다. 그러면서 "누가 정권을 잡든 대선 이후 경제적 불평등 등에 대한 깊은 통합의 정신을 발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인터뷰는 17일 오전 9시부터 10시까지 서울 중

  • 25.04.1308:00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테슬라 폭락에 백악관 나간다는 머스크…트럼프와 멀어지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사이에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정부효율부 수장인 일론 머스크가 조만간 정부를 떠날 수 있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내용으로, 지난 4일 기자회견에서 "머스크도 떠날 시점이 올 것이다. 아마 몇 달 후가 될 것 같다"라고 발언하면서 머스크의 조기 사임론이 확산되고 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머스크가 이탈리아 극

  • 25.04.1207:00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드론 격추하기 시작한 북한군…수세로 몰린 우크라

    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이 초기 고전에도 불구하고 현대전 전술에 빠르게 적응하며 전세를 역전시키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우크라이나가 점령했던 러시아 쿠르스크 지역에서 북한군을 앞세운 러시아군의 반격으로 우크라이나군이 후퇴를 거듭하면서 자국 국경 방어에 나서야 하는 상황으로 전환됐다. 초기에는 무인기(드론) 전술에 적응하지 못해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했던 북한군이 짧은기간 내에 드론 대응 전술을 익

  • 25.04.0609:01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이상돈 "국민의힘 플랜B가 없다…변화에 한계"

    윤석열 대통령이 헌법재판관 전원일치 8 대 0으로 파면됐다. 한국 정치사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두 번째로 대통령이 파면됐다. 불행한 역사다. 지난 4일 오후 3시 아시아경제 유튜브 채널 'AK라디오'에 출연한 이상돈 전 의원은 "국민의힘이 플랜B가 없다"며 변화하는 데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터뷰 전문은 아래 영상을 통해 볼 수 있다. 윤 대통령이 8:0으로 파면됐다.영어로 표현하면 심플 앤드 클리어다.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