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장위안 혐한조장은 열등감의 발로…한중관계만 악화시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서경덕, 장위안 등 인플루언서들 혐한 비판
"한국 문화를 중국 문화라고 억지 주장"
"중국인들 열등감 날로 심해져…자중해야"

한국에서 예능 프로그램 출연을 하며 얼굴을 알린 중국 인플루언서 장위안이 최근 혐한 발언을 해 논란인 가운데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자중해야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서 교수는 2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중국의 유명 유튜버와 틱톡커가 한국 문화를 자국 문화라고 억지 주장하는 사례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라며 장위안과 또 다른 인플루언서들의 사례를 언급했다.


장위안 "한국서 中 문화 훔쳤는지 묻겠다"
"장위안 혐한조장은 열등감의 발로…한중관계만 악화시켜" 중국 인플루언서 장위안. [이미지출처=유튜브 채널 '쉬는시간']
AD

장위안은 최근 틱톡을 통해 "곧 한국을 방문할 것"이라며 "(한국인이 중국 문화를) 훔치는 것에 대해서도 묻겠다"고 말했다. 이어 "나도 (중국 문화를 훔치는 한국인들 생각을) 알고 싶기 때문에 길거리 인터뷰를 할까 한다"며 "단오절, 공자, 한자, 중국 절기와 관련된 것 등 중국적인 요소에 대해 ‘이게 전부 한국 거라 생각하는지 묻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명나라나 송나라 때 황제 옷을 입고 한국의 궁 같은 데 가서 한 번 돌아보겠다"며 "시찰 나온 느낌으로 지하철을 타거나 번화가, 왕궁을 다니면서 중국 남자 복식의 아름다움을 선보이겠다"라고도 했다. 장위안의 이 같은 발언은 중국 관련 소식을 소개하는 유튜브 채널 '쉬는시간'을 통해 알려졌다.


"김치는 중국 것"…中 인플루언서들, 도 넘은 우기기
"장위안 혐한조장은 열등감의 발로…한중관계만 악화시켜" 김치를 담그고 있는 중국인 유튜버 리쯔치. [이미지출처=유튜브]

중국 인플루언서들이 한국 문화를 자국 문화라고 우기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앞서 1770만명의 구독자를 보유한 유튜버 리쯔치는 2021년 김치를 담그는 영상을 제작해 논란이 된 바 있다. 그는 당시 '중국음식(#ChineseFood)'이라는 해시태그를 달았다.


또 같은 해 중국인 인플루언서 쉬인(Shiyin) 또한 '한복은 한푸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혐오 발언이 역사를 바꿀 수는 없다'는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쉬인은 "한푸는 오랜 역사를 보유했으며 동아시아 국가에 영향을 줬다"며 "한복과 한푸는 다른 의복 형태임을 존중해야 한다. 그러나 한복이 한푸에 영향을 받았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고 주장했다.



이를 두고 서 교수는 "이런 일들이 벌어지는 건 한국의 문화가 전 세계인들에게 주목받다 보니 중국인들의 열등감이 날로 심해져 가고 있기 때문"이라며 "이들의 삐뚤어진 중화사상은 양국 관계만 악화시킬 뿐이니 반드시 자중해야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허미담 기자 damda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