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진스, 멕시코 걸그룹 '진스' 표절?…안무·의상·콘셉트 유사성 두고 누리꾼 시끌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멕시코 언론, 지난해 이미 유사성 의혹 제기해
뉴진스 팬들 "아일릿은 표절, 뉴진스는 아냐"

걸그룹 뉴진스가 멕시코 걸그룹 '진스'를 표절했다는 의혹이 국내외에서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누리꾼이 뉴진스를 비판하고 나섰다. 무엇보다 민희진 어도어 대표가 빌리프랩 걸그룹 '아일릿'을 향해 뉴진스와의 유사성 논란을 제기한 것을 두고 또 다른 표절 논란이 불거지는 모양새다. 23일 온라인상에서 일부 누리꾼이 뉴진스를 향해 '1990년대 멕시코 걸그룹 진스를 표절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이 의혹으로 멕시코 현지 언론의 보도가 다시 재조명되며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지난해 1월 멕시코 매체 '엘 시글로'는 "한국의 뉴진스는 1990년대 멕시코 그룹 진스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주장이 온라인에서 등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매체는 두 그룹의 의상, 헤어스타일 등 시각적 콘셉트와 홍보 사진, 뮤직비디오 등에서 유사성이 관찰된다고 지적했다. 두 그룹 이름 모두에 '진스'가 들어가고, 그룹 이름에 주로 사용되는 폰트가 유사하다는 점도 언급됐다.

뉴진스, 멕시코 걸그룹 '진스' 표절?…안무·의상·콘셉트 유사성 두고 누리꾼 시끌 지난해 1월 멕시코 매체 '엘 시글로'는 "한국의 뉴진스는 1990년대 멕시코 그룹 진스에서 영감을 받았다는 주장이 온라인에서 등장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아래는 멕시코 걸그룹 진스와 뉴진스. [사진출처=패티 서벤트(Paty Sirvent) 인사트그램]
AD

실제 온라인상에서 퍼지고 있는 이들 두 그룹의 비교 자료를 보면, 춤과 의상, 패션 등에서 비슷한 부분이 적지 않게 관찰된다. 이에 당사자인 '진스' 멤버 파티루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뉴진스의 표절 의혹을 제기하는 게시물을 캡처해 공유했다. 해당 게시물에는 뉴진스와 진스의 유사성을 비교하는 사진과 함께 "명백한 표절이다. 비슷한 이름이 가장 큰 단서"라는 문구가 있다. 이어 파티루는 "우와, 우리가 그렇게 틀리지는 않았어"라는 짧은 반응을 남겼다. 이 외에 별다른 말을 덧붙이지는 않았다. 여기에 최근 '진스' 공식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는 뉴진스 표절 의혹과 관련된 댓글이 빗발치고 있다. 이에 지난 21일 진스 측은 "우리는 1990년대 분위기가 다시 유행을 타고, 그 감성이 새로운 세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좋다"고 답글을 달기도 했다. 이어 웃는 표정에 작은 하트가 함께 떠 있는 이모지와 K-하트 이모지를 덧붙였다.


표절 논란에 대해 국내 누리꾼은 "아일릿은 뉴진스가 아니라 진스를 모방한 거 같은데" "뉴진스는 진스 표절 논란에 일본 걸그룹 표절 논란도 있다" "민희진은 맨날 독창성 얘기하는데, 사실 아이돌 의상과 안무, 콘셉트는 이미 거기서 거기" 등의 반응을 보였다.

뉴진스, 멕시코 걸그룹 '진스' 표절?…안무·의상·콘셉트 유사성 두고 누리꾼 시끌 뉴진스의 ‘Attention’의 히트 안무인 '머리 쓸어올리기' 안무 동작도 진스의 과거 영상과 비교됐다. [사진출처=온라인 커뮤니티]

반면 이번 의혹에 대해 뉴진스 팬들은 두 그룹은 모두 'Y2K'를 콘센트로 했다는 점에서 유사할 수밖에 없다고 옹호했다. 특히 이들은 "뉴진스 콘셉트는 보편적인 1990년대 감성"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최근 논란이 불거진 아일릿에 대해선 "뉴진스는 콘셉트를 가져온 수준이지만 아일릿은 아예 복제한 것" 등의 반응을 보였다. 또 두 그룹의 안무가 비슷하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진스랑 뉴진스 안무는 아예 다른 안무다. 이 수준이 표절이면 수많은 가수가 다 표절 시비가 붙을 것"이라는 반박했다. 그러나 아일릿과 뉴진스의 안무 유사성에 대해서는 "아일릿은 뉴진스의 두 팔을 반시계 방향으로 휘젓는 동작이 거의 비슷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민 대표는 지난달 26일 서울 서초구 모처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가 하이브와 맺은 주주 간 계약 때문에 하이브를 영원히 못 벗어날 수 있다고 압박받는 상황에서 뉴진스를 카피한 아일릿까지 나왔다"며 표절설을 재차 주장했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