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청년도약계좌, 123만명 가입…평균 17만원 기여금 수령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3년 유지하면 연 6.9% 적금 가입 효과

청년도약계좌, 123만명 가입…평균 17만원 기여금 수령 매월 70만원씩 5년간 적금하면 최대 5천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된 15일 서울 중구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를 찾은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상담원들과 대화하고 있다.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청년층의 자산형성을 위해 추진된 '청년도약계좌'에 10개월 간 약 123만명의 청년이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입자의 평균납입금은 469만원으로, 평균 17만원의 정부 기여금을 수령한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위원회는 22일 서울 중구소재 청년도약계좌 비대면 상담센터에서 김소영 부위원장 주재로 관계기관, 청년 등과 함께 '청년도약계좌 운영 점검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지난 4월 말 기준 청년도약계좌의 가입자 수는 123만명으로 평균연령은 28.1세였다. 가입자의 평균 납입잔액은 469만원(일시 납입액 포함·기여금 제외)으로, 평균 정부 기여금은 17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당국은 청년도약계좌 도입 이후 여러차례 제도개선을 추진해 왔다. 대상을 육아휴직 및 병역이행 청년으로도 확대했고, 특별중도해지 사유에 혼인·출산을 추가했다. 아울러 가구소득 요건도 중위소득 180% 이하에서 250%이하로 완화했다.


특히 은행권은 청년도약계좌를 3년 이상 가입 유지할 경우 적용하는 중도해지이율도 당초 1.0~2.4% 수준에서 은행별 청년도약계좌 기본 금리 수준인 3.8~4.5%로 상향했다. 이는 은행권의 3년 만기 적금금리(3.0~3.5%) 보다 높은 수준이다.


이에 따라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3년간 유지하면 상향된 중도해지율과 함께 정부 기여금 일부(60%), 이자소득 비과세가 적용돼 연 6.9%의 일반적금에 가입한 것과 동일한 수준의 수익효과가 기대된다는 게 당국 설명이다.


한편 서민금융진흥원은 올 하반기 개설 예정인 '원스톱 청년금융컨설팅센터(가칭)' 운영방안을 발표했다. 오는 6월 중엔 청년도약계좌 우선 대면상담센터를 열어 시·청각장애, 금융취약 청년 등에 대한 상담지원을 강화한다. 하반기엔 이를 원스톱 청년금융컨설팅센터로 개편해 청년의 금융상황 평가, 신용·부채 관리 컨설팅, 자산관리 등을 지원하는 거점으로 육성한다.



김 부위원장은 "앞으로 청년도약계좌가 청년층 자산형성·축적의 기틀이자 청년층 자산 포트폴리오의 기초(anchor)가 돼야 한다"면서 "6월 중 다양한 청년이 참여하는 포커그룹을 구성, 인터뷰·토론 등을 통해 청년의 청년도약계좌에 대한 인식, 이용 경험, 아이디어 등을 수렴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