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수도권 아파트, 상승 지역 ‘늘고’ 하락 지역 ‘줄고’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수도권 아파트 매매 · 전셋값 지난주 변동률 유지
변동률 변화 미미하지만 하락세 개별 지역은 감소

수도권 아파트, 상승 지역 ‘늘고’ 하락 지역 ‘줄고’ 5일 서울 용산구에서 바라본 아파트. 사진=강진형 기자aymsdream@
AD

서울과 수도권 전셋값 상승세가 5월까지 11개월 연속 이어지면서 매매시장도 조금씩 자극되는 모양새다. 실수요자 입장에서 전셋값이 장기간 상승할 경우 전세 만기 시 내 집 마련에 대한 고민이 커지기 때문이다.


17일 부동산R114이 발표한 5월 셋째 주 시황 분석에 따르면 4월 마지막 주까지 서울 25개구 중 하락 9곳, 상승 1곳으로 하락 지역이 압도적이었던 반면, 금주에는 하락 2곳, 상승 4곳으로 상승 지역이 더 많아졌다. 부동산R114는 서울 전체 변동률이 보합(0.00%) 수준에서 장기간 움직이고 있지만, 시군구 단위의 개별 지역에서는 치열한 자리 싸움이 진행 중이라고 평가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9주째 보합세(0.00%)가 계속됐다. 다만, 서울에서 하락한 곳은 2개구에 불과해 바닥을 다지는 과정으로 평가된다. 재건축과 일반아파트도 보합(0.00%)으로 가격 변동은 없었다. 신도시와 경기·인천 또한 보합(0.00%)을 기록했다. 서울 개별지역은 마포(0.03%), 동작(0.02%), 노원(0.02%), 용산(0.01%) 등이 오른 반면 양천(-0.01%), 영등포(-0.01%) 등은 떨어졌다.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노원에서는 중계동 라이프ㆍ신동아ㆍ청구2차, 동진신안, 현대6차 등에서 1000만원 상승했다. 신도시는 모든 개별 신도시가 보합(0.00%)을 나타냈으며, 경기와 인천은 이천(-0.04%), 안산(-0.01%), 안양(0.01%), 의정부(-0.01%) 등이 떨어지며 타 지역 대비 하락 움직임이 우세했다.


전세시장은 상승흐름이 11개월 연속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 경기·인천, 신도시 모두 0.01% 올랐다. 전셋값 상승세가 장기화 되며 주거 선호도가 높은 주요지역 중심으로 과거보다 상승폭이 커지는 흐름이 확인된다.


서울 개별지역은 중구(0.10%), 마포(0.05%), 동작(0.05%), 노원(0.05%), 용산(0.03%), 성동(0.02%), 영등포(0.01%), 구로(0.01%) 등에서 올랐다. 중구는 신당동에 위치한 약수하이츠(2282가구)가 1000만원 상승해 지역 시세에 영향을 미쳤다.


신도시 개별지역은 광교(0.03%), 분당(0.02%) 등에서 올랐다. 경기ㆍ인천 개별지역은 의정부(0.09%), 이천(0.05%), 안산(0.02%) 고양(0.02%), 인천(0.02%), 수원(0.01%) 등에서 상승했다.



부동산R114관계자는 "정부가 지난 14일 ‘부동산 PF의 질서있는 연착륙을 위한 향후 정책 방향’을 발표했는데 PF(프로젝트파이낸싱) 사업지가 유의·부실우려 등급일 경우 재구조화와 경공매 등을 통해 옥석가리기에 나서기로 했다"며 " 그간 부동산 시장에 ‘4월 위기설’, ‘5월 위기설’ 등의 PF부실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됐던 만큼 금번 대책을 통해 그러한 우려들이 조기 종식될지 주목된다"고 말했다.




심나영 기자 sn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