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올해보다 더 힘든 내년…'1%대' 저성장 본격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은, KDI 등 한국 내년 성장률 1%대 전망
수출 둔화에 실질소득 감소…저성장 불가피
내년에도 전쟁, 유가, 물가 등 불확실성 커

올해보다 더 힘든 내년…'1%대' 저성장 본격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4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를 마친 뒤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내년에는 ‘1%대’로 크게 떨어질 전망이다. 지난해 8월부터 시작된 기준금리 인상과 물가 상승에 따른 실질소득 감소, 미국·중국·유럽 경기 둔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한국은행과 정부는 내년 하반기 이후에는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보고 있지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국제유가 등 불확실성이 커 회복세를 장담하기 힘들다는 우려도 나온다.


26일 한은과 연구기관 등에 따르면 내년 우리 경제는 1%대 성장이 유력하다. 한은은 지난 24일 수정경제전망을 통해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1.7%로 대폭 낮췄다. 앞서 한국개발연구원(KDI)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우리나라의 내년 성장률을 1.8%로 봤고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1.9%), 한국금융연구원(1.7%) 등 다른 기관도 대부분 1%대 성장을 예상했다.


한은이 제시한 1.7% 성장은 코로나19 확산이나 글로벌 금융위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등과 같은 굵직한 위기를 제외하고는 기록한 적이 없을 정도로 낮은 수치이지만, 이 역시도 중앙값에 불과해 추후 더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통화정책방향 회의 후 기자간담회에서 "1.7%는 전 세계적인 여러 전망치 중에서 중앙값 정도에 해당한다"며 "특별하게 높거나 낮다고 보지 않는다"고 말했다.


성장률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한은은 내년 상반기에는 1.3%, 하반기에는 2.1% 각각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잠재성장률과 실질성장률 차이를 비교한 국내총생산(GDP)갭도 내년 마이너스 전환이 불가피해졌다. 김웅 한은 조사국장은 24일 간담회에서 "내년 상반기에는 GDP갭이 네거티브였다가 하반기 균형으로 가고, 2024년에는 소폭 플러스로 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올해보다 더 힘든 내년…'1%대' 저성장 본격화

성장세 약화는 계속된 금리 인상과 반도체 시장 침체에 따른 민간소비, 설비투자, 건설투자, 수출 둔화 등이 주원인이다. 민간소비는 코로나19 회복 이후 보복소비 효과로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나 실질소득 감소, 자산가격 하락 등으로 하방리스크가 크다. 또 설비투자·건설투자는 금리 인상으로 인해 내년 큰 폭의 축소가 예상된다. 상품수출 역시 중국과 IT 품목을 중심으로 글로벌 수입 수요가 약화하면서 부진할 가능성이 크다.


특히 내년 경상수지 전망은 지난 8월 예측한 340억달러에서 280억달러로 크게 줄었다. 서비스수지가 해외여행 증가와 중국 여행객 감소로 200억달러 적자를 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상품수지가 원자잿값 상승 등으로 인해 363억달러 규모로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기 때문이다.


한은은 내년 하반기 이후부턴 경제 성장세가 회복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 국장은 "내년 하반기부터는 대외 불확실성이 좀 완화되고 반도체 등 IT 경기도 좀 좋아진다고 본다"며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도 완화될 걸로 보기 때문에 향후에는 (경상수지가) 개선되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상품수출 역시 내년 상반기 -3.7%로 주춤한 뒤 하반기 4.9%로 상승 전망했다.


올해보다 더 힘든 내년…'1%대' 저성장 본격화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선적부두 옆 야적장에 완성차들이 대기하고 있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다만 시장에선 여전히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낙관적으로 보기 힘들다는 우려도 있다. 한은 가정대로 국제유가가 90달러대에서 유지되고 중국의 제로코로나 정책도 내년 3월 이후 완화될 경우 침체가 제한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다면 올해처럼 다시 전망치를 크게 하향 조정할 수밖에 없다. 특히 내년에는 전기·가스요금 인상 등 물가 상승 압력도 상존해 소비·투자 위축이 불가피하다.



이정익 한은 물가동향팀장은 "전기·가스 요금은 결정 시점 거의 직전이 돼야 그 당시의 국제 원자재 가격과 경제 상황, 때로는 경제 외적인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해 결정된다"며 "인상 자체는 불가피한데 (인상 폭이) 어느 정도가 될지는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고 말했다. 이환석 한은 부총재보는 국제유가에 대해서도 "저희가 예상했던 것보다 낮아지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낮아지는 쪽으로 가겠지만 예상과 달리 더 높아진다면 물가 상승률이 높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문제원 기자 nest2639@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