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기간 3개월은 부동산 분양시장 상황에 맞춰 조정 가능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이형권 기자] 순천시(시장 허석)가 내년 2월부터 시행할 예정인 ‘지역거주 우선공급제도’는 순천 시민들에게 공동주택 분양권을 우선해서 주겠다는 취지에서 탄생한 만큼 시민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고 있다.
그동안 과대·과열 양상을 보여준 순천의 공동주택 분양시장에서 순천시민은 분양권을 우선해서 받을 수 있게 돼, 시민들의 내 집 마련 기회를 보장하는 의미의 분양권 당첨 확률은 확실하게 높아졌다.
또한, 공동주택 분양권을 순천 시민들부터 우선 공급받는 만큼 주택시장의 안정화 기여에도 큰 몫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여기에 연말이면 반복되던 자치단체별 ‘인구 빼가기’도 순천시의 이번 정책으로 막을 내릴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하고 있어 호남 3대 도시에 등극한 순천시의 위상은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거주기간을 왜 3개월이냐, 최소 6개월을 돼야 효과가 있다”는 지적도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순천시가 많은 고민 끝에 기간을 정했음을 짐작하게 하는 부분이 있다.
거주기간을 6개월로 하면 공동주택 분양시장이 급랭해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거주기간 6개월은 순천시민만을 대상으로 공동주택을 분양해야 한다는 해석이 가능한 대목으로 부동산 전문가는 “자칫하면 주택공급 시장이 급랭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공동주택 분양시장이 갑자기 급강하면 예기치 못한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는 조언이다.
특히 “공동주택 분양시장의 열기에 따라 주택 가격의 변동과 영향이 발생한다.”면서 “부동산의 특성상 부동산 시장은 너무 뜨거워도 차가워도 안 되는 만큼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거주기간을 6개월로 하면 인구유입이 늘어나지 않을 수 있는 요인도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타 지역에서 순천으로 이사를 오기위해 공동주택을 공급받기를 희망하는 분들에게 6개월은 너무 긴 조건이라는 주장이다.
내년 상반기에 분양할 예정으로 전해진 왕지2지구‘트리마제’를 비롯한 분양예정인 아파트는 수 천 세대에 이르고 있어 이번 정책의 효과는 곧바로 시민에게 전해진다.
순천시 공동주택 이태문 팀장은 “시민을 우선하는 정책으로 시민의 권리와 재산권을 위해 노력 하겠다”면서 “거주기간은 향후 공동주택 분양시장을 세심히 살펴 가면서 조정해 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지금 뜨는 뉴스
순천시는 이번 정책이 시민권리 보장과 주택시장 안정화, 호남 3대도시 지속, 시민 재산권 보호 등 여러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았다는 시민들의 반응이다.
호남취재본부 이형권 기자 kun578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