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만9000세대에 태양광 보급 … 전기요금·관리비 절감
노후주택엔 단열설비 등 에너지효율 개선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서울시가 서울 지역 온실가스 배출의 68%를 차지하는 주범인 '건물'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LH한국토지주택공사와 손잡고 공공주택에 미니태양광 설비 등을 확대 설치하고 에너지효율 개선 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서울시는 12일 오전 11시 시청에서 서정협 시장 권한대행과 변창흠 LH 사장이 참석한 가운데 '서울형 그린뉴딜 확대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다고 밝혔다.
협약에 따라 LH는 서울 지역 공공임대주택 총 5만여세대 중 3만9000세대에 태양광을 집중 보급해 연간 1만5000t 이상의 온실가스 감축효과를 거둘 계획이다. 공공임대주택 2만2300세대에 2만5443kW(키로와트) 규모의 미니 태양광을 보급할 경우, 온실가스 감축효과 뿐 아니라 입주민들의 전기요금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가정용 태양광 보급과 함께 공동주택 옥상, 주차장 등 유휴공간을 활용해 약 2901kW 규모의 태양광 설비도 구축한다. 생산된 전기를 공동시설에 사용하거나 판매함으로써 관리비도 절감할 수 있다. 태양광 뿐 아니라 연료전지 등으로 생산된 열과 전기를 단지 내부에서 사용하고, 잉여전력은 판매하는 '에너지스테이션 시범사업'도 추진한다.
시는 태양광 설치보조금 지원을 비롯해 인허가, 입주민 대상 태양광 안내·홍보 등 가능한 모든 행·재정적 지원에 나선다.
20년 이상된 노후 주택과 공공건축물 119개소를 대상으로는 에너지 진단을 실시, '에너지효율 개선사업'을 추진한다. 건물단열 등을 통해 에너지 사용량을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제로에너지빌딩 건축을 통해 에너지 자립률 20%(제로에너지 5등급)를 달성한다는 목표다. 우선 매입임대주택 3개소를 지정해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연차적으로 확대해 나간다.
전력수요관리 사업과 LH 보유 태양광을 활용해 주민과 함께 이익을 공유하는 '전력중개사업'도 추진한다. 각 가정의 전력 생산·소비 데이터를 취합하는 지능형 전력계량기를 부착해 전력 생산·소비를 효율화하고, 전력예비율이 낮아질 때 전력수요관리에 참여해 금전적 보상을 받는 방식이다.
서울시와 LH는 지난 7월부터 전략 개발 협력을 통해 이같은 10개의 세부 협력사업을 발굴해 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기술·기준 교류 추진을 위해 실무협의를 이행할 계획이다.
지금 뜨는 뉴스
서정협 서울시장 권한대행은 "서울에서만 무려 5만호의 주택을 관리하는 LH와 시민의 삶을 책임지는 서울시의 이번 협력이 현장의 실질적 변화를 견인하고 다양한 미래 그린에너지 모델을 창출해 전국구 실천모델로 확산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