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이춘희 기자] 일본의 미래에 대해 비관적 전망을 이어 온 '투자 구루' 짐 로저스 로저스홀딩스 회장이 이번에는 일본 소멸론을 언급했다.
로저스 회장은 일본 잡지 '주간 아사히'에 연재해 온 '세계 3대 투자가 짐 로저스의 거침없는 예언 2020년, 돈과 세계는 이렇게 움직인다'의 마지막 글(10월9일호)을 통해 자신은 일본을 매우 좋아하기 때문에 엄혹한 메시지를 주고 싶다며 일본 소멸론을 제기했다.
그는 "아베 신조 전 일본 총리가 한시라도 빨리 물러나야 한다고 말해왔다"면서 그 이유에 대해 아베 전 총리의 행동원리가 자신과 체제를 유지하는 데 있을 뿐이어서 일본 젊은이들이 그 대가를 치르게 되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이어 아베의 후계자로 취임한 스가 요시히데 총리가 '아베노믹스'라는 잘못된 정책을 이어간다며 "일본에 이처럼 불행한 일은 없다"고 언급했다.
엔화를 찍어 내는 등 양적 완화를 통해 경제를 부양하는 이른바 '아베노믹스'의 폐해를 지적한 것이다. 그는 아베노믹스의 첫 번째 화살로 불리는 금융 완화는 엔화 약세를 유도해 일본 주가를 끌어올렸지만 이로 인해 언젠가 물가가 오르면 국민이 고통을 받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자국통화 절하 정책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경제성장을 이룬 나라는 역사상 한 곳도 없다며 정책의 혜택은 결국 일부 트레이더와 대기업에만 돌아갈 것이라 지적했다.
로저스 회장은 아베노믹스의 2번째 화살인 적극적인 재정지출 역시 일본 파괴 정책이라며 아베 내각이 나랏빚이 계속 늘어나는 상황에서도 잘못된 경제정책을 견지했다고 평가했다.그는 스가 정부가 이를 계승하게 되면 "일본의 10대 젊은이들은 서둘러 일본을 떠나야 한다"며 "내가 10세의 일본인이면 AK-47 소총을 사거나 나라를 떠나는 길을 택할 것"이라고 했다. 그는 AK-47을 언급한 이유는 앞으로 사회 문제가 심각해질 것인만큼 자기 몸을 지키기 위해 총이 필요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로저스 회장은 급격한 인구 감소가 일본의 사회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배경이라고 이야기했다. 그는 2060년이 되면 일본의 총인구는 현재의 1억2700만명에서 9300만명으로 줄어들고, 이 때 일본의 14세 이하 인구 비율은 10% 수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반면 아시아는 발전해 가고 21세기 후반은 중국과 아시아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예언했다. 또 북한이 개방을 시작하면 우수한 노동력이 있는 북한에 투자가 몰리면서 남한도 성장할 것이지만 "그러나 일본만은 성장에서 뒤처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로저스 회장은 그런데도 "스가 총리는 아베 노선 계승을 주창하고 있다"며 "유감스럽지만 이대로 가면 일본은 100년 후에 없어져 버릴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인은 사라지고, 일본어를 하는 사람도 없어져서 멸망해 버리는 것은 아닐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지금 뜨는 뉴스
로저스 회장은 일본이 살 수 있는 길로 대담한 세출 삭감과 적극적인 이민자 수용 정책을 제시했지만 "일본은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며 "일본의 젊은이들은 일본 밖으로 뛰쳐나가야 한다. 중국이든 한국이든 좋다. 그렇게 하는 것이 인생을 풍요롭게 만들어 줄 것"이라고 글을 맺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