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사모펀드의 배신]펀드 환매중단, 이유도 가지가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2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부실자산 편입으로 문제 발생
해외자산투자 사기 당하기도

[사모펀드의 배신]펀드 환매중단, 이유도 가지가지
AD

[아시아경제 구은모 기자] 지난해 라임자산운용의 1조6000억원대 펀드 환매 중단 사태가 발생한 이후 사모펀드 환매 연기 사태는 다양한 이유로 지속되고 있다. 사모펀드 환매 중단은 펀드가 담고 있는 자산에 부실이 발생하면서 시작됐다는 점에선 같지만 자산 부실의 배경은 조금씩 다르다.


30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잇따르는 사모펀드 환매 중단 사고의 대표적인 유형은 처음 제시한 상품설명과는 다른 부실자산을 편입했다가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다. 이들 펀드는 당초 투자계획서에 기재된 것과 다른 부실자산을 매입했다가 해당 자산에 문제가 생겨 자산수익률이 급감하고, 이를 가리기 위해 수익률과 투자자산의 가치를 허위로 보고하는 등의 부정을 저지르다 결국 환매중단으로 이어졌다.


최근 5000억원대 펀드 환매 중단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는 옵티머스자산운용의 사례가 여기에 해당한다. 당초 옵티머스운용은 손실 위험이 거의 없는 공공기관 매출채권에 투자한다며 투자자를 끌어 모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처음 약속한 한국도로공사나 경기도교육청 등 공공기관 상대의 매출채권은 없었고, 비상장사가 발행한 사모사채 등 유동성이 낮은 부실채권과 사채, 부동산 등에 투자했다. 양수도계약서와 펀드명세서 등에는 운용 취지에 맞는 상품을 편입한 것처럼 서류를 위조했지만 자산에 부실이 생기며 끝내 환매중단을 결정할 수밖에 없었다.


지난해 투자자에게 조 단위 손실을 입힌 라임운용 사태도 유사하다. 라임운용은 부실자산에 투자하고 펀드의 수익률을 돌려막기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라임운용의 수익률 부풀리기는 투자자 유치를 위한 목적이었지만 옵티머스운용이 투자처를 바꿔치기한 목적은 아직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환매중단에 이르는 다른 유형은 대내외 경제여건의 변화로 펀드에 담긴 자산 가치에 급격한 변동이 생기면서 발생하는 경우다. 자산 가치가 폭락하면서 자산 유동화에 어려움을 겪는 유형인데, 최근 불거진 젠투파트너스(젠투)의 채권형 펀드 환매 연기가 이런 사례다.


젠투는 주로 해외 금융채 등 우량 채권에 투자하는 펀드를 운용하는 홍콩계 헤지펀드로 투자 자산이 안정적인 대신 투자자 자금으로 레버리지를 일으켜 수익률을 높이는 방식을 주로 활용했다. 국내 금융사는 재간접 펀드나 파생결합증권(DLS) 신탁 등의 형태로 젠투 관련 사모펀드 상품을 판매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의 영향으로 채권 가격이 폭락하면서 펀드에 손실이 발생했고, 자산 유동화에도 어려움이 생겼다. 이 과정에서 신한금융투자가 판매한 젠투 펀드 관련 DLS가 조기 상환에 실패하는 등 문제가 발생했다.


지난해 발생한 해외금리 연계 사모 파생결합펀드(DLF) 사태 역시 우리은행ㆍ하나은행 등이 판매한 약 8000억원 규모의 DLF 상품이 금리 하락으로 일부 펀드의 원금 전액이 손실되면서 대규모 투자자 피해로 이어졌다.


사모펀드 환매 연기 사고의 또 다른 키워드는 해외자산 투자다. 저금리 기조가 만연해지면서 상대적으로 고수익을 노릴 수 있는 투자처로 해외자산의 인기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다만 국내자산보다 자산 상태를 파악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는 점은 문제로 지적된다. 최근 부실펀드 문제가 대부분 해외자산에 투자하는 사모펀드에서 발생했다는 점이 이를 보여준다.


JB자산운용의 호주부동산펀드는 호주 장애인임대아파트에 투자하는 사모펀드로 지난해 기관투자가에 2360억원, 개인투자자에게 904억원 등 총 3264억원 규모로 판매했다. 그러나 현지 운용사가 다른 토지를 매입하는 등 사기에 휘말려 원금손실이 발생했고 펀드환매가 중단됐다. 현재는 법적 다툼을 진행하고 있다.



2000억원 규모의 환매연기가 발생한 디스커버리채권펀드도 P2P업체에 투자금을 대는 미국 운용사 DLI펀드의 사모사채를 매수하는 상품이고, 1100억원이 판매된 하나은행의 이탈리아 헬스케어펀드 역시 이탈리아 지방정부의 헬스케어 예산을 재원으로 지급되는 의료비 매출채권에 투자하는 역외펀드를 총수익스와프(TRS) 방식으로 재투자하는 구조다.




구은모 기자 gooeunmo@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