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공 넘겨받은 제주 여전히 '시큰둥'…시계제로 이스타 M&A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3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공 넘겨받은 제주 여전히 '시큰둥'…시계제로 이스타 M&A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이상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유 주식 전체를 이스타항공에 '헌납(獻納)'하기로 했지만 공을 넘겨받은 제주항공은 여전히 시큰둥하다. 체불임금, 인수 선결조건 등 각종 문제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기 때문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이 의원의 결단에도 제주항공의 이스타항공 인수합병(M&A)이 무산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고 보고 있다.


30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이 의원의 보유 지분 헌납 결정에도 제주항공은 이스타항공 M&A 절차 재개와 관련해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제주항공 측은 "현재 이 의원 및 이스타홀딩스의 진의를 파악하는 단계"라면서 "특별한 입장은 없다"고 밝혔다.


이 의원은 전날 이스타홀딩스를 통해 보유한 주식 전량(38.6%)을 이스타항공에 양도하겠다고 선언했다. 이스타홀딩스는 이 의원의 두 자녀가 지분 100%를 보유한 지주회사다.


이스타항공은 해당 주식의 가치를 약 410억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환사채(CB) 대금, 각종 미지급금, 250억원에 이르는 체불임금을 해소하겠다는 것이다.


당초 이 의원은 제주항공 측에 매각가(545억원) 중 110억원을 인하하는 안(案)을 제시했지만, 이를 포함한 주식 전량을 양도하겠다는 계획인 만큼 실질적으로 제주항공에게 더 득이라는 게 이스타항공의 설명이다. 김유상 경영관리실장은 간담회에서 "110억원보다 더 큰 파이가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갑작스러운 제안에 제주항공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제주항공 한 관계자는 "계약 주체가 바뀐다면 계약을 파기하겠다는 것과 다름이 없다"면서 "이런 극단적인 수를 염두에 둔 것은 아닐 텐데, 정작 이 의원과 이스타홀딩스 측이 어떤 의중인지 명확지 않아 답답할 따름"이라고 했다.


당장 계약 주체가 이스타홀딩스에서 이스타항공으로 변경되는 것인지도 불명확한 상태다. 최종구 이스타항공 대표 역시 전날 기자간담회에서 계약 주체가 변경되는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일단은 회사(이스타항공)라고 생각하지만 이제 (실무적으로) 검토를 해보겠다"고 모호한 답변을 내놨다.


타이이스타젯 지급보증(3100만달러) 해소 등 인수 선결조건도 '해결'됐다는 이스타항공 측의 주장과 달리 이전과 달라진 게 없다는 게 제주항공 측의 입장이다. 제주항공으로선 실익이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전환사채(CB) 발행대금, 각종 세금, 체불임금 등 미지급금을 해소할 경우 이스타항공을 통해 손에 쥘 수 있는 현금은 거의 없단 이유에서다.


이 때문에 일각에선 이 의원의 '강수'에도 M&A 성사 가능성은 미지수란 반응이 나온다. 제주항공은 '인수 의지는 변함없다'는 입장을 원론적으로 고수하고 있지만, 애경그룹 및 제주항공 내부에서조차 완주에 부정적인 기류가 상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인수를 확정하고 정부로부터 1700억원의 인수금융을 지원받는다고 해도 1000억원대의 각종 미지급금, 정상화에 소요될 자금, 업황 회복기까지 필요한 자금 등을 고려하면 '배보다 배꼽이 더 클 수 있다'는 주장이다.


제주항공의 재무상황도 녹록지 않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이미 500억원을 단기차입한 데 이어 유상증자도 추진 중이다. 이베스트투자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제주항공의 1분기 기준 현금성 자산은 약 1000억원 수준이나, 2분기 고정비용만 635억원으로 추정된다"면서 "이스타항공 인수 사안까지 감안하면 현 현금 보유 수준은 다소 미비하다"고 짚었다.


이스타항공은 제주항공에 M&A를 압박하는 한편 '플랜B'를 염두에 둔 듯한 모습도 보이고 있다. 최 대표는 전날 입장문을 통해 "제주항공과의 M&A 진행에 따라 정부 지원을 받을 자격도 없이 시간만 보내고 있다"면서 "최악의 상황이 현실화 되면 제주항공도 책임을 피할 수 없다"고 압박했다. M&A가 무산되면 정부의 지원이 없을 시 파산 및 청산절차가 불가피한 가운데, 현재까지 진행 중인 항공노선 셧다운(Shut downㆍ가동중단), 인력 구조조정의 책임소재를 겨냥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이스타항공은 정부의 금융지원도 거듭 촉구했다.



이스타항공 조종사노동조합 한 관계자는 "지분을 내려놓겠다곤 했지만 계약 주체, 쟁점인 체불임금 지급규모ㆍ방식 등 어느 것 하나 명쾌하게 해소된 게 없다"면서 "이 의원 측이 지분 헌납을 명분으로 꼬리자르기에 나섰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라고 꼬집었다.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